탄소중립 도시 구현, ‘데이터센터 폐열’ 및 ‘하수열‘ 등 활용 관건
기술기획 공청회···탄소저감 평가 방법론 구축, 법제도 정비 요구

8일 제주에서 열린 (사)한국열환경공학회 학술대회에선 
8일 제주에서 열린 (사)한국열환경공학회 학술대회에선 국토교통부 ‘탄소중립도시 전환을 위한 미활용 자원 및 에너지 지능형 순환 시스템 기술개발 과제’에 대한 공청회가 진행됐다. /사진=최용구 기자 

[제주=환경일보] 최용구 기자 = 8일 제주에서 열린 (사)한국열환경공학회 학술대회에 모인 전문가들 사이에선 ‘미활용 자원’에 대한 논의가 뜨거웠다. 

학계가 주축이 된 패널들은 ‘탄소중립도시 전환을 위한 미활용 자원 및 에너지 지능형 순환 시스템 기술개발 과제’(이하 과제)를 두고 공청회를 진행했다. 공청회는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가 주최하고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등이 주관했다.

국토교통부는 건물, 교통, 국토, 도시 등에 대한 탄소중립 로드맵을 제시해야 한다. 에너지 소비량 저감 등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할 수 있는 분야별 기술을 발굴하고 실증해야 한다. 

본 과제는 ▷지하철 폐열 ▷데이터 센터 폐열 ▷LNG(액화천연가스) 냉열 ▷해수열 ▷하수열 ▷가연성 폐기물 등 미활용 자원을 통한 에너지 활용이 가능한 기술들을 기획하는 내용이다. 2023년 11월까지 약 18개월 간 진행된다.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등에 따르면 기획된 결과를 가지고 내년 9월께 국가 예비타당성조사(이하 예타)를 신청할 예정이다. 

이날 공청회는 과제가 비용편익 등이 고려되는 예타를 통과할 수 있을지를 전망하는 분위기였다. 현재의 도시구조나 토지전략 등을 감안했을 때 미활용 자원이 어떻게 순환될 수 있느냐는 질문이 던져지기도 했다. ‘탄소중립 기술’과 ‘탄소중립 도시’의 차이를 이해해야 한다는 견해도 있었다. 

류하늬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예타를 신청하는 탄소중립과 관련된 다른 과제 사업과 중복되는 부분을 집중적으로 봐야할 것”이라며 “도시유형별로 모델을 구축해서 필요한 기술들을 기획하겠다는 그런 개념이 좀 더 강조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미활용 자원을 활용해 탄소 배출을 줄이는 탄소중립 도시를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유리한 측면이 있다. 예타를 통과할 경쟁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본다”고 전망했다. 

국민 편익성 입증돼야 

박영수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수석연구원은 “탄소중립 기여도에 대한 평가를 어떻게 할지가 숙제”라고 밝혔다. 

박 수석연구원은 “방법론에 관한 국가 차원의 표준이 없다면 단순히 연구진들이 개략적으로 제시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면서 “과제에서 필요한 탄소저감의 기여도를 찾기 위해 정부부처와 연계해서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패널들은 그동안 ‘경제성’을 주된 이유로 미활용 자원이 외면받았던 데 대해 “정부가 인센티브를 만들면 상황이 나아질 수 있다”고 기대하면서도, 미활용 자원을 받아들일 제반 여건은 달라진 게 없다는 한계를 말했다.   

김시헌 안양대학교 교수는 “에너지기본계획 등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미활용 자원은 부가적인 요소로 인식됐다. 무엇보다 건축주 입장에선 굳이 돈을 더 들이고 미활용 자원을 도입해 건물을 짓기 힘들다”고 진단했다.

이어 “경제성과 기술성이 있어도 법과 제도가 뒷받침되지 못하면 할 수 없다. 과제가 연구를 위한 연구가 아니라 실증이 되기 위한 모두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유영돈 고등기술연구원 본부장은 “탄소중립 도시와 탄소중립 기술은 서로 다르게 봐야 한다”면서 “미활용 자원으로부터 에너지를 회수하면 탄소중립 도시가 된다고 말할 수는 없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활용 자원만으론 안 된다” 

유 본부장은 “도시에서 탄소중립 실현하려면 외부에서 무탄소 연료가 들어오는 것도 필요하지만 도시 내에서도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에너지를 쓰기 위한 어떤 ‘명령’이 있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 밖에 윤중경 제일엔지니어링 사장은 “많은 사람들이 살고 있는 도시에서 미활용 자원을 순환시키기 위해선 그에 대한 정량적 가치가 충분히 고려돼야 한다”며 “도시구조나 토지전략 등 운영 관리 전반에 대한 새로운 표준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공청회 좌장을 맡은 정재동 세종대학교 교수는 “이번 과제에서 언급되는 여러 키워드 가운데 ‘지능형’이라는 키워드가 유독 부각되지 않고 있다. 전체 키워드가 균형을 맞춘 기획이 돼야 한다”고 당부했다.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설명에 의하면 과제는 ‘미활용 자원 및 에너지를 회수·재생하는 자립 순환 모델’을 추구한다. 물순환, 자원순환, 탄소순환, 공기순환, 에너지 하베스팅, 지능형 순환제어 등 현재 6가지 키워드로 진행 중이다. 

이날 1차에 이어 2차 공청회는 내년 5월경 열린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