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경쟁력 높이려면 신재생에너지 비율 높여야

[환경일보] 부동산 침체기에 국내 대형 건설사들의 사업 다각화는 선택이 아닌 필수다. 고금리와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경기 침체 흐름이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주력 먹거리인 주택 사업 이외의 포트폴리오 재편에 집중하는 추세다.

원자력 수주 관련 대형 건설사는 脫 탈원전에 들썩였다. 두산에너빌리티(옛 두산중공업), 현대건설, 대우건설 등은 원전 르네상스 시대를 연 2009년 정부의 그린에너지 정책의 가장 큰 수혜자로 꼽혔으며 지금까지 그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새로이 주목받고 있는 소형모듈원자로(SMR) 개발에도 적극적이다.

대우건설은 원자력발전소의 설계·시공·해체에 이르는 전 과정에 대한 토털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국내 유일의 건설사로, 우리 기술로 만들어지는 차세대 원전 SMR 개발에도 투자하고 있다. SMR은 출력 규모 300MWe(메가와트e) 이하인 원자로로, 모듈화 공법으로 설계·제작해 표준화가 쉽다는 강점이 있다.

삼성물산은 미국 SMR 기업인 뉴스케일파워와 포괄적인 협력을 맺으며 글로벌 SMR 사업을 본격화했다. 삼성물산과 뉴스케일파워는 2029년 상업 운전 목표인 미국 아이다호주 SMR 프로젝트를 논의하고, 사전 시공계획 수립 단계부터 기술 인력 파견 등 상호 간 기술과 역량을 공유하기로 했다.

현대엔지니어링은 미국 USNC와 ‘캐나다 초크리버 초소형모듈원전(MMR) 실증사업’ 상세설계 계약을 체결했으며 이를 기반으로 2029년까지 캐나다와 미국, 폴란드 등지에서 MMR EPC(설계·조달·시공)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하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세계시장의 탄소 규제가 강화되면 원자력발전 외에 신재생에너지의 비율을 높이는 것이 수출 경쟁력을 높이는 방법이다.

건설업계는 해상풍력 사업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글로벌 해상풍력 디벨로퍼’ 도약을 선언한 SK에코플랜트와 함께 풍력발전 점유율 1위 건설사인 코오롱글로벌도 해상풍력 사업에 뛰어들면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SK에코플랜트는 지난 2012년부터 동남권 해안에서 풍황데이터 측정, 타당성 조사 등을 수행하며 해상풍력 사업을 준비해왔다. 2018년에는 울산 동남해안 해상풍력(136MW) 사업 발전사업 허가를 취득하고 현재 인허가 및 설계를 진행 중이다. 2020년부터는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사업으로 영역을 확장하기도 했다.

이번 사업 진행에 따라 SK에코플랜트는 국내 기업 최초로 사업개발, 인허가, 구조물 제조, EPC(설계·조달·시공), 발전사업 운영 등 해상풍력 분야 밸류체인 전반을 확보하는 한편 최근 인수를 완료한 삼강엠앤티와 시너지도 기대하고 있다.

코오롱글로벌은 최근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400MW 규모 ‘완도 장보고 해상풍력 발전사업’ 허가를 취득했다. 완도 장보고 해상풍력 발전사업은 약 2조원 규모로 향후 상업 운전 시 4인 가족 기준 28만 가구가 연간 사용할 수 있는 연평균 120만MW의 전력을 생산할 것으로 전망된다.

해상풍력과 유사 공종인 해상교량에서 실적을 쌓아온 코오롱글로벌은 올해 발전사업 허가를 취득함에 따라 본격적인 설계 및 인허가 업무에 착수한다는 계획이다.

GS건설도 최근 핀란드 바이오 에너지 업체인 St1과 열대 식용작물인 카사바의 폐기물을 이용한 바이오 에탄올 생산 프로젝트를 추진하기로 했다. 지금까지 카사바 가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인 카사바 펄프는 미활용 폐기물로 분류돼 대부분 버려졌지만 이를 재활용해 바이오 에탄올을 생산할 방침이다.

한화건설은 풍력·수력 등 친환경에너지 프로젝트에서 이미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2020년 신설된 풍력사업실을 중심으로 육상·해상 풍력발전 사업 디벨로퍼로 성장하고 있는데 76MW급 영양 풍력 발전단지(2.45MW급 22기)와 25MW급 제주 수망 풍력 발전단지(3.6MW급 7기), 대산 수소 연료전지 발전소 준공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삼성물산은 지난해 친환경 분야에서 새로운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계획을 발표했다. 친환경 부문에서는 태양광 사업모델 확대(개발·EPC·ESS 역량 등) 추진과 수소 밸류체인 내 파트너십 강화, 소형모듈원전(SMR), 이차전지 리사이클링 사업 확대 계획이 포함됐다.

기후위기 시대 친환경 경영과 신재생에너지 확보는 기업 경쟁력을 좌우할 최우선 과제인 만큼, 대형 건설사의 에너지 전환을 위한 사업 다각화가 앞으로 어떤 행보를 이어갈지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