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해양수산과학기술 육성 기본계획’ 발표, 탄소흡수 극대화 구상
부처 칸막이 뚜렷, 창업 수준 못 벗어나··· 혁신 투자 실효성 불확실

'2023 해양수산 과학기술 콘퍼런스’가 28일 양재 엘타워에서 열린 가운데 패널들이 발언하고 있다. /사진=최용구 기자  
'2023 해양수산 과학기술 콘퍼런스’가 28일 양재 엘타워에서 열린 가운데 패널들이 발언하고 있다. /사진=최용구 기자  

[엘타워=환경일보] 최용구 기자 = ‘해양 생태계 이용 탄소중립’이란 바람이 불고 있는 가운데 전문가들이 해양수산 과학기술의 현주소를 점검했다. 기초과학에 대한 투자를 강조하는 목소리와 좋은 연구를 해도 업계가 잘 모른다는 반응이 교차했다. 

해양수산부(장관 조승환, 이하 해수부)가 28일 주최한 ‘2023 해양수산 과학기술 콘퍼런스’에 참여한 한국해양학회, 동원그룹, 한국해양대학교,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등 유관기관 관계자들 사이에선 이같은 견해가 모아졌다. 

이날 해수부는 ▷오션 디지털·탄소중립의 대전환 ▷파도를 넘는 위기대응 미래 R&D ▷민간 성장동력 강화 ▷해양강국 R&D 생태계 조성 등 4가지 비전이 들어간 ‘2차 해양수산과학기술 육성 기본계획(2023~2027)’을 발표했다.

대기 중 배출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바다의 기능을 극대화시켜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플랑크톤, 해조류, 어패류 등의 탄소저장 효욜을 높이는 기술을 키워드로 꼽았다. 

친환경 해양에너지 상용화 확대, 에너지 자립형 미래선박, 갯벌·바다숲 복원기술, 자율운항 기술, 미래형 스마트포트, 지능형 수산자원 관리 등도 언급됐다. 

해수부 발표 뒤 40여분간 진행된 토론에선 도덕희 한국해양대학교 총장, 이명우 동원그룹 부회장, 강동진 한국해양학회장, 김종덕 한국해양수산개발원장, 정해진 서울대학교 교수(한국해양학교수협의회장) 등이 발언했다.  

도덕희 총장은 “선택과 집중형의 인재 양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선박, 해양 등에 첨단산업이 보급되고 선박금융이 중요해지는 상황에 대비할 가성비 높은 인재 양성을 주문했다. 

이명우 부회장은 “식품수산업계에선 인류의 단백질 수요가 향후 크게 증가할 것에 대한 고민이 많다”면서 “육상에서의 단백질 공급은 포화됐기 때문에 바다 양식을 통한 해법을 찾고 있다”고 했다. 

또 “글로벌사들은 탄소배출의 목표를 내라는 요구를 받고 있다. 우리도 배출되는 탄소를 계산해야 하지만 컨설팅 회사에 문의하니 계산을 못하더라”라고 토로했다.  

그는 정부 발표가 업계의 탄소중립 및 단백질 수요 충족 등 대응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기대하면서도 “이런 얘기를 업계가 잘 모르는 것 같다. 좋은 연구를 하고 아웃풋(output)이 있어도 업계가 모르면 의미가 없다”고 덧붙였다.

해수부는 친환경 해양에너지 상용화 확대, 에너지 자립형 미래선박, 갯벌·바다숲 복원기술, 자율운항 기술, 미래형 스마트포트, 지능형 수산자원 관리 등을 기본계획 안에 담았다.  /사진출처=충청남도
해수부는 친환경 해양에너지 상용화 확대, 에너지 자립형 미래선박, 갯벌·바다숲 복원기술, 자율운항 기술, 미래형 스마트포트, 지능형 수산자원 관리 등을 기본계획 안에 담았다.  /사진출처=충청남도

강동진 한국해양학회장은 “진정으로 기후위기 등 현안에 대응하려면 기초과학에 반드시 투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언제 물고기가 폐사할지 언제 어선이 뒤집어질지 모른다”라면서 “대비하려면 해양의 다양한 분야를 골고루 알아야 한다”고 부연했다. 

강 학회장은 “해수부에 기초과학 지원을 부탁하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부)에 미루고, 반대로 과기부에 얘기하면 해수부에 가서 얘기하라고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한계를 말했다.  

김종덕 한국해양수산개발원장으로부턴 “창업 기반의 산업혁신 생태계는 조성이 돼 있는데 신산업으로 육성되거나 좋은 자리로 창출되는 건 미흡하다”는 평가가 나왔다. 그는 소규모 창업은 이뤄져도 산업적 효과로까진 이어지지 못하는 상태로 해양수산 업계를 진단했다. 

김 원장은 “벤처생태계를 구축하는 게 목적이 아니라 연구개발을 통해 기업화, 산업화하는 부분이 더 강조돼야 한다”고 당부했다. 

해수부는 이날 2차 해양수산과학기술 육성 기본계획(이하 기본계획)을 발표하며 앞선 1차 기본계획(2018~2022) 상의 한계점을 파악해 보고했다. 이에 따르면 ‘기업 육성’ 및 ‘전문인력 양성’은 양적으로 성장했으나 ‘기술 수준 목표 달성도’가 부족했다. 투자 확대 대비 사업화 실적 또한 미흡한 걸로 파악됐다. 

해양수산 과학기술 육성법에 따라 해수부 장관은 5년마다 기본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이번 2차 기본계획은 2023년초께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의결을 거치면 최종 확정된다. 이후 해수부는 연도별 시행계획 수립 및 전략 마련에 들어간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