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 기후위기의 최대 피해자 ‘청년’‧‧‧ “한반도 평화‧안보 지켜야”
남북 공동 해양쓰레기 정화, 인권보호 활동 등 적극적인 상생협력 필요

27일 국회에서 열린 2023 지속가능한 평화 구축 컨퍼런스(Sustainable Peace-Building Conference)에서 한반도 평화를 위한 청년들의 다양한 정보와 의견들이 공유됐다. /사진=김인성 기자
27일 국회에서 열린 2023 지속가능한 평화 구축 컨퍼런스(Sustainable Peace-Building Conference)에서 한반도 평화를 위한 청년들의 다양한 정보와 의견들이 공유됐다. /사진=김인성 기자

[국회=환경일보] 김인성 기자 = 최근 촉발된 러-우 갈등으로 지구촌에 전쟁이 촉발됨에 따라, 한반도의 평화를 위해 청년들이 발 벗고 나섰다.

지난 27일 오후 1시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2023 지속가능한 평화 구축 컨퍼런스(Sustainable Peace-Building Conference)가 열렸다.

해당 행사에는 유엔한국학생협회(UNSA), 한국지속가능캠퍼스협회(KSCA), 한국지속가능발전학회,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유엔인권 사무소 등의 관계자들이 모여 ‘한반도 평화를 위한 청년 정책’에 뜻을 모았다.

주최자인 양정숙 의원(국회 정무위원회)은 “작년 전국지속가능협의회 포럼에 참석했는데, 그때 청년 파티를 보면서 희망을 봤다”며 전국청년지속가능발전협의회와 함께 본 컨퍼런스를 개최하게 된 계기를 전했다.

양 의원은 전쟁, 기후위기 등으로 가장 큰 희생은 ‘청년’이라고 명시하며, 청년 세대야말로 국가 및 지자체 정책을 넘어 청년 정책을 세우는 데 최대한 많이 참여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양정숙 의원은 전쟁, 기후위기 등으로 가장 큰 희생하고 있는 것은 ‘청년’이라며, 이와 같은 청년들이 정책 등 모두 함께 참여해 목소리 내주길 바랐다. /사진=김인성 기자
양정숙 의원은 전쟁, 기후위기 등으로 가장 큰 희생하고 있는 것은 ‘청년’이라며, 이와 같은 청년들이 정책 등 모두 함께 참여해 목소리 내주길 바랐다. /사진=김인성 기자

이날 본격적인 컨퍼런스 시작에 앞서 피스 빌딩(Peace-Building)을 하는 청년들에 대한 소개가 이어졌다.

피스 빌딩은 말 그대로 평화를 세운다는 의미다. 글로벌 이슈였던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을 기점으로 평화를 무너뜨리는 전쟁과 폭력을 저지시키기 위해 작년 2월 국내에서는 청년공동입장문인 한국청년공동성명이 전개됐다.

그 후 6월 피스 빌더 1기 청년들이 모집돼 제1회 피스 빌딩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당시 러-우 전쟁, 미얀마 사태 등의 국제 분쟁 사례 공유 등을 통해 청년 평화와 안보 문제를 공론화하고, 정책적 대안을 자문할 피스 빌딩 클럽도 조직됐다.

9월 이후에는 다양한 콘텐츠 제작과 문화 행사를 개최해 피스 빌딩의 대중적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이날 행사는 피스 빌딩 참여자를 포함해 1, 2부 발제자와 패널토론자들이 평화를 주도하는 청년에 대한 다양한 시사점들을 공유했다.

평화 사라진 한반도, 지속가능한 청년안보는 어디?

1부에서 ‘주목해야 할 한반도 청년 평화, 안보’를 발제한 김정필 한국청년지속가능발전협의회 대표는 청중들에게 ‘우리가 원하는 ‘안전하고 평화로운 한반도’의 모습‘에 대한 물음표를 던졌다.

그는 “한반도는 이미 반세기 이상 멀어졌다”면서 무력 분쟁, 청년이 살상 무기화되지 않을 ‘청년안보가 보장되는 한반도 공동의 평화 문화’를 증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 자체의 지속가능성 제고 ▷국제사회도 지지할 다각적 평화구축 ▷경제, 사회, 환경, 협력 등 청년이 주도는 지속가능발전 등의 방법을 제안했다.

김정필 한국청년지속가능발전협의회 대표는 우리가 원하는 평화는 이미 답이 나와있다며, ’청년안보가 보장되는 한반도 공동의 평화 문화’를 증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정필 한국청년지속가능발전협의회 대표는 우리가 원하는 평화는 이미 답이 나와있다며, ’청년안보가 보장되는 한반도 공동의 평화 문화’를 증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우리는 안보 없이 개발을 향유하지 않을 것이다.” 유엔 사무총장 코피아난의 말을 인용한 유엔인권최고대표사무소 서울사무소 강윤주 법무관은 북한 인권을 우려했다.

강 법무관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 열악한 인권 상황에 대해 현재 유엔사무소는 북한 인권 모니터링 및 문서화 강화와 책임규명을 하고 있으며, 관련국 정부와 시민사회 등 이해당사자와의 관계 및 역량 강화 활동을 확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남북, 공동 해양 쓰레기 정화 및 재자원화 협력해야

남북이 공동으로 해양 쓰레기 정화를 진행하고, 재자원화에 협력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북한은 일전에 ‘해양 생태계 보호’와 관련해 환경보호를 위해 과학기술을 접목하고, 해양 오염을 극복하겠다는 내용을 UN경제이사회를 통해 서술한 바 있다.

한국청년지속가능발전협의회 조윤서 피스 빌딩 팀 매니저는 이러한 북한의 관심과 노력을, 한반도의 해양 생태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과 ‘교류협력’이 가능한 지점으로 봤다.

아울러 정치 외교적 갈등을 넘어 남북한 청년들의 해양, 산림 등 환경 생태계를 위한 적극적 상생협력의 움직임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한국청년지속가능발전협의회 조윤서 피스 빌딩 팀 매니저는 정치 외교적 갈등을 넘어 남북한 청년들의 해양, 산림 등 환경 생태계를 위한 적극적 상생협력의 움직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국청년지속가능발전협의회 조윤서 피스 빌딩 팀 매니저는 정치 외교적 갈등을 넘어 남북한 청년들의 해양, 산림 등 환경 생태계를 위한 적극적 상생협력의 움직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SDGs 이행을 위한 국내 거버넌스 체계 검토 필요

이어진 2부에서는 지속가능발전 이행체제 속 청년 대표들의 입장이 제시됐다.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는 2015년 9월 유엔이 채택했다. 한국에서는 2022년 1월 지속가능발전기본법이 제정되면서 미래 주체들에게 있어 ‘지속가능한 미래 담론의 장’을 여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가 됐다.

그러나 청년층의 권익 증진과 더불어 지역시민 발굴 및 지역사회 리더십 함양 장치로 작동하는 청년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정책공동체 휘발성 등 청년자치 거버넌스의 한계를 지적한 김동희 협동조합 거버넌스리빙랩 공동대표는 “SDGs 이행을 위한 국내 거버넌스 체계 검토 및 실효성을 높이는 이행체계를 갖춰야 한다”며 지역사회를 연계해 활동에 임할 수 있는 지원이 요구된다고 피력했다.

김병완 한국청년지속가능발전협의회 학회장은 지속가능발전기본법에 따른 청년의 역할로 ▷지속가능발전 실천활동 및 교육‧홍보 ▷지속가능발전 기본전략 및 추진계획 수립 ▷중장기 행정계획에 대한 지속가능성 사전검토 등으로 확장해야 한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