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경우도 늦었다는 답변 없어‧‧‧ 실천, 지구·인류의 미래 투자

[환경일보] 세계 최대 AI연구소가 지난해 11월30일 공개한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 챗GPT(ChatGPT)가 두 달 만에 월간 활성 사용자 수 1억명에 도달하며 인공지능 신드롬을 일으키고 있다.

챗GPT는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최선의 방법을 알려줄 수 있을까? 챗GPT에게 한국의 기후위기 대응 중 가장 시급한 정책이 무엇인지 물었다. 세계 각국은 챗GPT를 정책에 활용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고, 실제 미국에서 고도의 정치적 행위인 법안 작성에 성공한 사례도 있다.

우선 같은 질문을 세계인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검색 포털인 구글과 한국의 대표 포털 네이버에게 물었다.

구글은 국제적으로 진행 중인 온실가스 감축에 반하는 정책을 펼치고 있는 한국의 온실가스 저감 정책을 지적하는 뉴스를 검색 상단에 올렸다. 기후위기라는 키워드로 구글을 통해 바라본 한국은 기후악당, 탄소저감 불충분, 화석 연료 회귀 등의 부정적인 시선 일색이었다.

네이버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단, 구글보다는 기후위기에 반응하는 국내문제에 대해 더 많은 뉴스를 검색해 답변을 내놓았다. 한국 시민들에게 기후위기란, 윤석열 정부의 기후위기 대응, 기후위기와 국내 기업의 생존 등 기후위기를 경제와 생존이라는 키워드를 함께 묶은 뉴스가 가장 많이 눈에 띄었다.

챗GPT는 ‘세계에서 7번째로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한국은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도 클 것이고, 우선 추진해야 할 시급한 기후위기 정책은 탄소배출 감축에 대한 더 적극적인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라는 답을 내놓았다.

이어 챗GPT는 개인과 기업도 탄소배출 감축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며 대중교통 이용, 차량 공유, 절전기기 사용을 권했다. 탄소 오프셋 구매 등의 방법으로 간접적으로 탄소배출을 줄일 수 있다는 방법도 제시했다. 나무를 통해 포집한 이산화탄소를 다른 상품으로 바꾸는 수단인 탄소 오프셋은 기업이 탄소 저감을 위한 실질적인 노력보다 저개발 지역에 나무 심기에만 몰두할 수 있어 그린워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이렇게 논란이 있는 탄소 저감 수단까지 답변으로 제시하는 이유는 챗GPT의 마지막 대답을 통해 짐작해 볼 수 있다. 챗GPT는 한국의 기후위기 대응은 급하게 시행될 필요가 있다고 문장을 마무리했다.

질문을 바꿔 만약 기후위기를 막지 못한다면 어떠한 상황이 벌어질지 물었다.

챗GPT는 기후위기를 막지 못한다면 지구는 해수면 상승, 해안도시 침수, 식량 부족 등의 극적인 변화를 겪을 것이며, 수도권 이외 지역이 건조지역이 되면서 이주를 강제당할 수 있다며 이를 막기 위해서는 재생에너지 개발, 에너지 절약, 탄소 배출 감소 등의 다양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사실 챗GPT가 전한 기후위기를 막는 방법은 새로울 것이 없다. 기발한 아이디어를 기대했다면 실망할 수도 있는 대답이다. 하지만 고도의 인공지능이 우리에게 명확하게 전달하고 있는 한 가지 메시지는 기후위기를 막는 실천이다. 이 뻔한 답을 계속 외면한다면 지구가 어떻게 될지 몇 번을 다시 물어봐도 국가와 지역 상황에 따라 실천 방법이 다른 기후위기 대응에 대해 긴 설명을 반복할 뿐이었다. 챗GPT는 기후위기를 막는 노력은 지구와 인류의 미래에 대한 투자라고도 했다. 이 뛰어난 인공지능이 이미 대응이 늦었다고 말하기 전에 우리가 이미 모두 알고 있는 방법을 실천해야 한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