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악 가뭄 광주 넘어 전국화 우려··· 기후변화 대응 수원 다변화 시급

[환경일보] 광주광역시 주암댐 저수율이 20% 아래로 떨어졌다. 1월3일 한화진 환경부 장관이 2023 주요 정책 추진 과제를 윤석열 대통령에게 보고하는 자리에서 밝힌 저수율 29%를 한참 밑도는 수치다.

광주·전남지역 최대 상수원인 주암댐의 저수율이 19.9%까지 떨어진 것은 1992년 준공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지난해 12월 30%를 기록한 이래 역대 최저 저수율을 경신하고 있다.

기상청 자료를 보면 광주·전남 지역 가뭄 피해는 몇 년 전부터 예견됐다. 2012년 이후 1월과 2월 건조한 날씨가 많아졌고, 3월과 4월은 강수량이 많은 만큼 건조한 날도 꾸준히 증가했다. 한두 해만에 생긴 기현상이 아니라는 의미다. 광주·전남 가뭄이 지금까지 이슈화되지 않은 것은 광주·전남 지역 주요 댐 평균 저수율이 높아 식수나 공업용수 사용에 크게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아서다.

광주·전남 지역은 강수량이 적은 곳이 아니다. 기상청 기록을 살펴보면 광주·전남은 1월부터 5월까지 제주도를 제외하면 전국 평균 강수량보다 많은 곳에 속한다.

하지만 2012년 이후 건조한 날이 눈에 띄게 많아지며 댐에서 녹조현상이 발생하고 산불 발생이 증가했다. 지난해 가뭄 기간은 무려 280일에 달했다. 사실상 6월에야 비다운 비를 볼 수 있는 기후로 변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기후변화가 불러온 상시적인 가뭄으로 물 부족에 대한 위험도는 올라가고 있었지만 이렇다할 대책이 마련된 것은 아니었다. 강수량은 줄고 댐 용수 의지 비율이 높은 만큼 물 부족 문제가 한번에 터져나온 것이다.

국외로 눈을 돌려보면 광주·전남 지역 가뭄이 심각해지기 전 북한과 중국을 통해 충분히 위기가 예견됐다. 북한 서해안 지역과 중국 쓰촨성, 원난성은 이미 60년 만의 겨울 가뭄과 5월까지 최저 강수량을 기록한 바 있다.

환경부 2023년 주요업무 추진계획을 보면 갈수록 심해지는 국민 생활안전을 위협하는 홍수·가뭄은 기후변화가 원인인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갈수록 지역별로 극한강수량 빈도는 높아지고 계절별로 강수 편차가 심해질 것으로 예측했다.

과거 지자체 상수도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지자체가 해결해야 한다는 인식이 있었다. 상시적인 가뭄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노후화된 상수도관에서 물 손실이 발생하는지 지자체도 살펴야 하지만 가뭄은 기후변화로 인한 국민 모두의 문제인 만큼 정부는 상수도를 관리는 지자체에 대한 더욱 적극적인 지원과 협력이 필요하다. 미국과 일본의 경우 각 주와 지자체가 함께 저수관리 시스템을 운영하고, 가뭄 단계별로 지원과 대책을 구분한다. 기업도 폐수 재활용에 현재보다 더 적극 나서야 한다. 국립환경과학원 자료에 따르면 반도체 생산 공정 중 발생하는 폐수량은 20%, 방류량은 24%를 차지해 전체 산업 업종 중 가장 많다. 반면 물 재활용률은 20%에 못미친다.

곧 농번기다. 가뭄 시기라고 기업에서 쓰는 물을 줄이기는 어렵다. 농업용수가 제때 공급되지 못하면 한해 농사를 망친다. 반도체 주요 수출국인 중국과 대만이 겪은 반도체와 농업용수 분배 문제가 현실화되고 있다. 가뭄이 전국화될 가능성도 있다. 이미 경북과 경남 댐도 가뭄 주의 단계가 내려졌다. 충청권 주요 댐 역시 저수율이 감소하고 있다. 지난 10년간 홍수와 가뭄이 발생하는 간격이 좁아진 만큼 기후변화를 염두해 둔 유연한 물관리 정책이 필요해 보인다. 물 수요 관리와 수원 다변화에 나서야 한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