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분별한 산림녹화사업이 원인··· 산림구조 바꿔야

[환경일보] 대형산불로 전국 산림이 타들어 가고 있다. 식목일 이틀 전인 지난 2일 충남 홍성 산불에 이어 11일에는 강원 강릉시 난곡동 일대에서 초대형 산불이 발생했다. 오전 8시쯤 발생한 산불은 강풍을 타고 주변 지역으로 번졌다. 민가 100여 채 이상이 전소되고, 사망자가 발견되는 등 인명 피해도 나오고 있다.

특히 축구장 면적 530개에 이르는 산림 379ha가 잿더미가 돼 산불 피해를 바라보는 국민의 속도 새까맣게 타들어 가는 심정이다. 매년 식목일을 전후해 발생하는 산불로 소중한 천연자원인 산림이 소실되는 가운데, 산림 보호를 위한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산림청은 대형산불의 원인으로 기후변화를 지적한다. 봄철 고온 건조한 날씨와 양간지풍이라 불리는 강한 바람으로 산불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와 같은 기후대에 있는 일본과 중국에서는 산불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산불에서 주불이 잡혔다가 남은 불씨가 되살아난 이유에 대해 여러 가지 원인을 내놨다. 먼저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부는 거센 바람이 원인이기도 하지만, 무분별한 산림녹화사업이 원인이었다는 지적도 있다.

우리나라 산림은 일제강점기 전쟁물자 조달, 6·25전쟁 등으로 황폐해졌다. 지금의 푸른 산림은 1970년부터 1990년대 산림녹화사업을 통해 이뤄낸 결과물이다. 대대적 녹화사업을 벌이면서 척박한 땅에서도 잘 견디는 침엽수, 그중에서도 소나무 위주의 ‘단순조림’이 실시됐다.

소나무의 문제는 화재에 취약하다는 점이다. 소나무는 테르핀이라는 휘발성분을 지니고 있어, 화재 시 불을 오래도록 타게 하면서 멀리 번지도록 한다. 솔잎이나 송진 등은 산불의 연료가 되는데, 이번에 주불이 다시 살아난 이유도 솔잎이나 송진 등에 불씨가 남아있었기 때문이다.

초대형 산불을 예방하기 위해서라도 기존의 침엽수 중심 산림구조를 활엽수 중심으로 바꿀 필요가 있다. 산불 피해 복원사업을 추진할 때 활엽수와 같은 내화 수종을 많이 심는 방안을 중장기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또 산림녹화사업 당시 무조건 심기에만 급급했던 ‘단순조림’에서 벗어나 양적으로도 질적으로도 역량을 향상하는 게 중요하다. 이번 산불 위기를 기회로 삼아 한국의 녹화사업과 재난관리가 더 체계적이고 지속가능한 방향으로 수립되길 바란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