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으로 사고파는 구조부터 바꿔야

[환경일보] 지난해 국내 유실·유기 동물 발생이 전년 대비 4.1% 감소했지만, 여전히 10만 마리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물자유연대가 발표한 ‘2022 유실·유기동물 발생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거리로 나온 유실·유기동물은 11만2226건으로 2021년 11만6984건에 비해 4758건이 감소했다.

정점을 찍었던 2019년 13만3513건에 비해서는 2만1287건, 15.9%가 줄어든 수치다.

그러나 이와는 별개로 도시지역과 비도시지역 간의 유실·유기동물 발생 양극화 현상이 지속되고 있으며, 품종견과 비품종견 간 격차도 커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7개 시·도 중 2016년 경기도를 제외한 나머지 지자체의 발생 건수는 서울보다 적었으나 2022년에는 경기도와 충북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의 발생 건수가 서울을 추월했다.

같은 기간 전체 유실·유기동물 발생 건 중 서울의 비중은 9.7%에서 2022년 4.2%로 감소했다.

또, 인구 1만명 당 발생 건수를 시·군·구로 나눠 보면 2016년에는 ▷시 18.4건 ▷군 19.3건 ▷구 15.4건으로 큰 차이가 없었으나 2022년에는 ▷시 24.2건 ▷군 58.6건 ▷구 12.1건으로 ▷시는 31.5% ▷군은 203.6% 늘었고 ▷구는 21.4% 줄었다.

발생 건수와 인구대비 발생 건수 모두 도시지역과 비도시지역 사이의 양극화가 심해지고 있다.

아울러 유기 이후의 삶도 극명하게 나뉘었다. 품종견의 경우 자연사와 안락사 비중 모두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반면 비품종견의 자연사와 안락사 비율은 2016년부터 2019년까지 증가하다 감소해 전체 발생 건수에 자연사와 안락사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유기동물보호소의 포화도가 높아질수록 비품종견의 보호 환경이 악화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보조금을 받아 유기동물을 보호하는 시설도 열악하기는 마찬가지다. 날마다 수많은 동물이 보호시설에 들어오지만 새 주인을 찾는 경우는 거의 없다보니 포화상태를 벗어날 수 없다. 

입양되는 동물은 늘어나고 시설은 한정돼 있다 보니 의무 보호 기간 10일이 지나면 동물병원으로 이송되고 수의사에 의해 안락사된다.

절대 안락사를 시키지 않고 좋은 환경에서 키우겠다며 후원금을 모았던 동물보호시설에서 약물을 주입해 몰래 안락사시킨 사실이 드러나는 등 믿을만한 보호시설을 찾기도 힘들다.

동물보호단체 역시 안락사 실태가 드러나면서 큰 충격을 준 바 있다. 공공기관은 물론, 동물보호단체조차 안락사를 시키고 있다.

시민들의 후원으로 운영되는 동물보호시설 역시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다. 해외로 입양되는 동물은 한정돼 있고, 국내 입양은 극히 드물기 때문이다.

독일은 제도적으로 유기동물도 안락사도 없다. 반려동물은 사고파는 것이 아니라 보호소를 통해서만 반려동물을 입양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자격을 검증한 가족만이 동물을 키울 수 있기 때문이다.

동물을 사고파는 구조를 근본적으로 뜯어고치지 않는 한 동물유기와 안락사로 이어지는 구조는 계속될 수밖에 없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