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 융합 예측 정보 및 선도적 정책 방향 제시
편향되지 않는 기후위기·대기오염·탄소중립 연구 지향

지정학적 관계·실정 고려한 ‘늘푸른 The-K 정책’ 구상
젊은과학자회의, AI·빅데이터특별위 등 분과 운영 지원

김조천 한국대기환경학회 회장은 초미세먼지, 탄소중립·기후변화, 오존 문제를 학회 선결 과제로 제시했다. /사진=이다빈 기자
김조천 한국대기환경학회 회장은 초미세먼지, 탄소중립·기후변화, 오존 문제를 학회 선결 과제로 제시했다. /사진=이다빈 기자

[환경일보] 박선영 기자 = 한국대기환경학회(KOSAE) 김조천 회장(건국대 교수)은 5월11일 창립 40주년 기념식 개최에 앞서 진행한 환경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초미세먼지, 탄소중립·기후변화, 오존 문제를 학회 선결과제로 제시했다.

한국대기환경학회와 환경부는 지난해 1월부터 4월까지 ‘대기정책 발전방향 토론회’를 개최해 대기오염 물질 배출량을 줄이고 농도를 낮출 것을 공통과제로 제시했다.

이 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김조천 회장이 전한 학회 계획은 “대기오염 물질의 과학적인 측정과 대기오염 물질 저감·제거 기술 개발을 연계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대기오염 예측 정보는 더 정확해지고 선도적인 정책 방향을 만들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국대기환경학회가 지난 5월11일 창립 40주년을 맞아 서울 엘타워에서 개최한 기념식 /사진=이다빈 기자 
한국대기환경학회가 지난 5월11일 창립 40주년을 맞아 서울 엘타워에서 개최한 기념식 /사진=이다빈 기자 

“더욱 빠르고 정확한 대기오염 정보 요구

2015년 전국 연평균 26㎍/㎥이던 미세먼지 농도가 지난해 18㎍/㎥까지 감소했지만 아직 대기환경기준인 15㎍/㎥을 초과하는 상황이다. 여기에 2015년 27ppb이던 전국 연평균 오존 농도는 지난해 32ppb까지 증가했다.

제3차 대기환경개선 종합계획(2023~2032년)에 따르면 환경부는 5년 내 초미세먼지 30% 저감을 추진한다. 2032년 전국 초미세먼지 평균 농도는 12㎍/㎥로 낮출 계획이다.

2025년까지였던 제2차 대기환경개선 종합계획은 예정보다 빠르게 마무리됐다. 종합계획 수립 후 변경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면 그 타당성을 검토하도록 한 대기환경보전법 제11조 제4항에 따른 것이다. 2021년 10월 2030 국가 온실가스감축목표(NDC) 상향, 2022년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 시행, 2021년 9월 WHO(세계보건기구)의 대기질 권고기준 강화에 따라 변경 요건이 성립됐다.

김조천 회장은 “대기오염 정도에 따라 선제적 행동이 필요한 시민들이 더욱 정확한 정보 제공을 원하고 있다”며 “학회는 환경부 등 정부기관과 시민 요구에 부응하는 대기오염 경보 시스템을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미세먼지 경보제는 고농도 미세먼지가 발생했을 때 이를 신속하게 국민에게 알려 행동 요령이나 조치 사항을 실천하도록 해 미세먼지 피해를 줄이기 위한 제도다.

과학과 기술의 융합을 강조하는 김 회장은 “국내에서는 아직 기후변화라고 하면 이산화탄소만 생각하는 경향이 강하지만 이산화탄소로 대표되는 장기 체류성 기후변화 물질과 오존, 응축성 미세먼지 등의 단기 체류성 기후변화 물질이 결합해 신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있는 것이 세계적인 연구 경향”이라고 전했다.

실제로 환경부는 제3차 대기환경개선 종합계획에서 대기환경기준 달성률이 저조한 오존을 대상으로 농도 목표를 설정하고, 원인 물질인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휘발성유기화합물, 암모니아 등을 종합적으로 관리하기로 했다.

김 회장은 “학회는 다양한 기후변화 물질, 오존 물질 등에 대한 연구로 기후위기와 대기오염 연구 경향이 한쪽으로 편향되지 않도록 해 더 높은 수준의 정책이 만들어지도록 돕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생 회원들이 발표한 논문을 대상으로 진행된 학생콜로키움 시상식 /사진=이다빈 기자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생 회원들이 발표한 논문을 대상으로 진행된 학생콜로키움 시상식 /사진=이다빈 기자

‘늘푸른 The-K 정책’ 구현

대기환경학회 정관은 ‘대기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과학과 기술에 관한 연구개발을 통해 국가 발전에 기여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대기질의 과학기술 정책과 융합된 통합적인 지식’을 강조해 온 김 회장은 지난해 젊은과학자회의(YBS)를 독립기구화 했다. 과학적 역량 강화는 환경부 제3차 대기환경개선 종합계획 5대 핵심전략 중 하나다. 김 회장이 학회 과제로 정부 대기환경개선 정책이 차질 없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과학적 논거 지원을 내세우는 이유다.

김 회장은 “학회 회원들의 학술 활동이 국제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Springer 플랫폼 사용 준비를 마치고 젊은 과학자들이 미래비전을 가지고 성장할 수 있도록 학회 학술지(AJAE)가 SCIE에 등재되는 것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과학과 기술에 근간한 여러 분야의 소통이 필요하다”고 전한 김 회장 말처럼 학회에는 젊은과학자회의 외에도 측정·분석, 실태·정책관리, 확산·반응, 대기위해성, 방지기술, 실내공기질, 통합환경관리특별위원회, 통합대기환경관측특별위원회, 동북아산학협력특별위원회 등의 다양한 분과회의가 존재한다. AI·빅데이터특별위원회는 지난해 만들어져 운영하고 있다. 특히 미세먼지위원회는 탄소중립과 연계해 초미세먼지위원회로 발전시키기 위해 준비 중이다. 김 회장은 이들 그룹들이 소통하고 협력할 수 있도록 지원에 나서고 있다.

김조천 한국대기환경학회장은 "다양한 학회 그룹들이 소통하고 협력할 수 있도록 지원에 나서고 있다"고 말했다. /사진=이다빈 기자
김조천 한국대기환경학회장은 "다양한 학회 그룹들이 소통하고 협력할 수 있도록 지원에 나서고 있다"고 말했다. /사진=이다빈 기자

특히 최근에는 국제위원회의 활동이 강조되고 있다. 김 회장이 강조하는 ‘늘푸른 The-K 정책’을 구상하는 분과이다. The-K 정책은 지정학적으로 다양한 국가의 영향을 받고 있는 대한민국이 실정에 맞는 정책을 세워야 할 것을 강조한다. 제3차 대기환경개선 종합계획 5대 핵심전략 중 ‘실효적 국제협력 추진’과 의미가 맞닿는다.

김 회장은 “국내 대기오염 문제는 우리만 잘해서 해결될 문제는 아니며 주기적으로 한반도로 밀려오는 미세먼지·황사에 대한 중국, 몽골에 대한 교육, 사막화 지역이 적어지도록 하는 외교적인 노력을 함께해야 한다”고 전했다.

“다양한 대기오염 물질 발생원 찾아 저감기술 적용해야”

김 회장은 “전기차 전환 시대를 맞아 이동오염원 배출 저감에 많은 관심과 정책 초점이 맞춰져 있지만 산업체, 발전소 등 공공부문 배출원을 규제하는 문제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때”라고 지적했다.

‘국민건강 중심의 대기질 개선’을 가장 큰 목표로 내세운 제3차 대기환경개선 종합계획은 생활 주변 배출원의 효과적 관리와 저감 지원을 강조하고 있다.

환경부는 종합계획에서 생활 주변의 대기오염을 줄이기 위해 2024년부터 업종별 방지시설 설치를 지원하고 제품군별 휘발성유기화합물 함유 기준을 만들 계획이다. 건설현장의 비산먼지는 발생산업 신고대상이 개편되고, 조치 기준이 강화된다.

김 회장은 “산업체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 물질, 다중이용시설, 선박 등의 대기오염 물질 발생원을 찾아 이를 저감하는 기술을 적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조천 한국대기환경학회장은 "대기오염과 탄소중립 두 가지를 융합적인 차원에서 바라보고 해결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진=이다빈 기자
김조천 한국대기환경학회장은 "대기오염과 탄소중립 두 가지를 융합적인 차원에서 바라보고 해결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진=이다빈 기자

[김조천 한국대기환경학회장이 전하는 ‘기후위기 시대’ 지구를 살리는 한마디]

기후변화 시대에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하고 있다. 기후변화를 일으키는 물질들은 인간이 만든 것이다. 기후변화 물질이 장·단기 체류성 물질로 나눠지듯 대기오염과 탄소중립 두 가지는 다른 문제가 아니다. 이는 융합적인 차원에서 바라보고 해결해야 한다. 바로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산·학·연·관·민과의 소통과 국가 차원의 연계를 강조하고 싶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