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I·환경부 주최 ‘기후 리스크 적응정보 제공 방향’ 포럼 개최
기후정보포털, 연안재해 취약성 평가 등 다양한 기후 적응정보 제시

지난 26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 의원회의실에서 한국환경연구원과 환경부는 ‘기후 리스크 공시 대응을 위한 적응정보의 제공 방향’을 주제로 포럼을 공동 개최했다. /사진=박준영 기자
지난 26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 의원회의실에서 한국환경연구원과 환경부는 ‘기후 리스크 공시 대응을 위한 적응정보의 제공 방향’을 주제로 포럼을 공동 개최했다. /사진=박준영 기자

[대한상공회의소=환경일보] 박준영 기자 = 지난 6월22일 환경부(장관 한화진)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련된 ‘제3차 국가기후위기적응강화대책(2021~2025)’을 확정했다.

정부는 이번 강화대책을 통해 2025년부터 자산 2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의 ESG 공시를 단계적으로 의무화하고, 국내 ESG 공시기준을 제정한다고 밝혔다. 나아가 오는 2030년부터는 자산과 관계없이 모든 코스피 상장사의 ESG 공시를 의무화한다고 명시했다.

이러한 상황에 한국환경연구원(원장 이창훈, 이하 KEI)과 환경부는 산업계의 기후공시 대응을 위한 적응정보 시스템들을 소개하고 기업의 기후공시 준비 현황 파악, 애로사항·지원 방안 등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7월26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 의원회의실에서 ‘기후 리스크 공시 대응을 위한 적응정보의 제공 방향’을 주제로 포럼을 공동 개최했다.

KACCC, 산업계 기후 리스크 공시 지원 나서

KACCC(Korea Adaptation Center for Climate Change, KEI 국가기후위기적응센터)는 국내 유일의 적응정책 전문 연구기관으로서 지난 2009년 7월1일에 설립됐다. 기후위기 적응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 및 이행 추진, 국제협력 및 국내외 네트워크 구축 등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적응 인식 제고와 확산에 노력하고 있다.

조한나 KACCC 연구위원은 이날 KACCC가 산업계에 지원한 주요 산업 현황과 개발 중인 평가방법론에 대해 설명했다. /사진=박준영 기자
조한나 KACCC 연구위원은 이날 KACCC가 산업계에 지원한 주요 산업 현황과 개발 중인 평가방법론에 대해 설명했다. /사진=박준영 기자

조한나 KACCC 연구위원은 이날 KACCC를 소개하고 그동안 KACCC가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 발표 때마다 산업계에 지원한 주요 사업 현황에 관해 설명했다.

지난 2010년 정부가 제1차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11~’15) 세부 목표 발표하자 KACCC는 엑셀기반 기후변화 리스크 평가도구인 ‘CCRAT’를 개발·지원했다. 나아가 CCRAT를 바탕으로 웹기반 시스템인 ‘CRAS 시스템’을 개발해 기업에 적응계획 작성 양식, 리스크카드, 해외 적응사례집 등 여러 정보를 제공했다.

2015년 제2차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16~’20) 수립·발표 이후에는 100개소 이상의 업체의 산업계 적응대책을 수립하고 컨설팅 지원 및 제도화, 역량강화 교육을 지원했다.

나아가 올해 6월 확정된 제3차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에 대비해 ▷주요 산업별 적응매뉴얼 개발 및 기후위기 적응전략 마련 ▷민간기업 지원 확대 및 적응정보 수집·개발 지원 ▷산업계 기후위험도 평가방법론 개발 ▷정부-산업계 사이 문제해결형 적응협의체 운영 등의 노력을 하고 있다고 조 연구위원은 설명했다.

그는 “센터에서는 산업계의 기후리스크 공시 대응 지원을 위해 여러 가지 매뉴얼과 가이드라인 등을 지원하고 있다”며 “앞으로는 산업의 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 방법론을 개발하는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기후정보 활용한 ‘기후위기 적응대책’ 수립 필요

기상청의 ‘기후정보포털’은 국내외 기후변화 정보사이트들에 대한 자료를 토대로 일반인의 기후변화 과학 정보에 대한 이해를 돕고 관련기관에서의 기후변화 연구 결과들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인터넷 기반 기후변화 정보시스템으로서, 기후변화협약 대응책 마련에 필요한 통합적 과학정보를 제공하고 국민이 쉽게 기후변화에 대한 정보를 이해해 국민의 알 권리를 충족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됐다.

최다솜 기상청 기후변화감시과 주무관은 기상청의 기후정보포털을 사용해 다가올 기후재난을 예측하고 국가 시설들을 정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사진=박준영 기자
최다솜 기상청 기후변화감시과 주무관은 기상청의 기후정보포털을 사용해 다가올 기후재난을 예측하고 국가 시설들을 정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사진=박준영 기자

최다솜 기상청 기후변화감시과 주무관은 기상청의 기후정보포털을 활용하면 지자체의 과거, 현재, 미래 기후전망을 분석해 기초지자체에 어떤 기후 취약성이 있는지 분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지자체가 포털 활용을 통해 2050년까지 기후재난이 취약한 부분을 파악하고 예산을 투입해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는 포털 활용방안까지 제시했다.

최 주무관은 “우리나라 지방 기초지자체는 5년에 한 번 기후위기 적응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기후위기 적응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과거를 알아야 한다”며 “최근 갑작스러운 폭우와 장마로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기후정보포털을 활용해 미래 기후전망을 분석하고, 기후재난에 대비해 국가 시설들을 정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후 현재 기후정보포털이 갖는 한계에 대해 설명했다. 그는 민간기업의 경우는 식료품, 레저, 서비스 등 분야가 매우 다양해 자료를 선정·분석하고 시나리오를 제시하는 데 많은 시간이 필요하고, 수요에 맞는 자료를 제시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밝혔다.

최 주무관은 “민간기업이 원하는 자료에 대한 정보가 없어 시나리오 산출과 정보 분석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민간기업 입장에서 어떤 정보가 필요한지 정확한 수요를 알 수 있다면 사업 진행에 매우 큰 도움이 된다”고 밝혔다.

정광영 국립해양조사원 해양과학조사연구실 연구사는 연안재해 취약성 평가를 활용해 다가오는 연안재해를 정확히 예측하고 대비를 통해 막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정확한 전망은 국민의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불안감을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사진=박준영 기자
정광영 국립해양조사원 해양과학조사연구실 연구사는 연안재해 취약성 평가를 활용해 다가오는 연안재해를 정확히 예측하고 대비를 통해 막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정확한 전망은 국민의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불안감을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사진=박준영 기자

정광영 국립해양조사원 해양과학조사연구실 연구사는 ‘해양기후 분야 대응·적응 정보 구축 현황 및 활용’을 주제로 발표했다.

최근 기후변화가 가속됨에 따라 전 지구적으로 해수면은 꾸준히 상승하고 있으며, 고탄소 시나리오(SSP 5-8.5)에 따르면 우리나라도 탄소 배출량에 따라 오는 2100년에는 해수면이 42~87cm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해수면이 상승함에 따라 백중사리에 의한 해안가 저지대 침수 피해 발생, 수온 상승으로 인한 ‘슈퍼 태풍’의 발생 증가 등 연안재해 발생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이에 국립해양조사원은 분산해서 관리 중이던 연안 정보를 통합하고 객관적·정량적인 재해 원인별 연안재해 취약성 평가지수를 개발하고, 국내외 연구사례와 해양·재난·방재·사회·경제 분야별 전문가 자문을 통해 ‘한국형 연안재해 취약성 평가’를 구축하고 있다.

정 연구사는 “연안재해 취약성 평가를 활용해 다가오는 연안재해를 막아야 한다”며 “그러기 위해선 해양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다. 과학에 기반한 미래 예측·전망은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불안감을 줄이고, 동시에 효율적 정책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