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전기차 배터리시장 점유율 33%‧‧‧ 원자재는 중국에 ‘의존’

13일 열린 ‘탄소중립을 위한 폐배터리의 순환경제 전략과 육성 방안’ 국회 세미나에서 박정 위원장은 “순환경제는 기후위기 대응의 핵심이고 폐배터리 재활용 산업이 그 중심에 있다”고 밝혔다. /사진=김인성 기자
13일 열린 ‘탄소중립을 위한 폐배터리의 순환경제 전략과 육성 방안’ 국회 세미나에서 박정 위원장은 “순환경제는 기후위기 대응의 핵심이고 폐배터리 재활용 산업이 그 중심에 있다”고 밝혔다. /사진=김인성 기자

[국회=환경일보] 김인성 기자 = “미래 세대를 이끌어 갈 차세대 산업은 바로 ‘폐배터리 재활용 산업’이다.”

‘탄소중립 위한 폐배터리의 순환경제 전략과 육성 방안’을 위해 13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국회기후변화포럼‧한국환경공단 주최로 열린 국회 세미나에서 박정 환경노동위원회 위원장은 이같이 밝혔다.

박 위원장은 그 이유로 “순환경제는 기후위기 대응의 핵심이고 폐배터리 재활용 산업이 그 중심에 있다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실제로 많은 국가들이 폐배터리 재활용 방안을 강화하고 기술과 산업에 대한 투자도 적극적으로 늘려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EU나 일본, 중국 등 폐배터리 회수를 의무화했으며, 특히 중국은 폐배터리 전 과정을 표준화하고 정부가 주도화해서 배터리 시장 규모를 대대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박 위원장은 “그러나 우리가 가야할 길은 아직 멀기만 하다. 우리나라의 전기차 배터리 세계 시장 점유율은 33.9%에 달하지만 주요 원자재는 중국 등 자원보유국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또 그는 “폐배터리 재활용 관련 인증 기준, 법적 기반은 미흡하고 산업 단계도 아직 초기에 머물러 있는 것이 현실”이라며 “정부 차원에서의 보다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봤다.

아울러 박 위원장은 “폐배터리 시장을 우리가 선도하게 된다면, 탄소중립은 물론 자원과 광물이 늘 부족했던 한국은 새로운 도시 광산을 통해 고속성장의 기회까지 마주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