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기술에 대한 진통'인가 아니면 '애초부터 불필요한 기술'인가.
현재 식품에서의 방사선조사를 두고 이 같은 주장이 팽팽한 가운데 최근 환경정의 주최로 열린 행사에서 방사선조사식품의 안전성과 표시실태에 대한 진단이 이뤄졌다.
방사선 조사식품은 식품의 가공이나 저장시 유통기한을 늘리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으로 이날 한국원자력연구소 이주운 선임연구원은 "방사선 처리가 인체뿐만 아니라 환경에도 좋지 않다고 와전되는 것 같은데 일반 식품과 다를 바 없"며 "단지 미생물의 제거로 부패되는 속도가 느릴뿐이지 일반식품과 같이 똑같이 부패되고 그런만큼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은 없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국내에서 유통되는 식품에서 방사선 조사여부에 대한 표기가 안 됐을 뿐더러 장비 미비로 처리여부에 대한 과학적 검증이 어려운 상황이다. 결국 이러한 문제로 전국민이 방사선 조사식품에 무방비 노출돼 있는 것도 사실이다.
현재 원자력연구소 차원에서는 국내 방사선조사식품 검사기술이 독일 다음이라고 자부할 수 있을 만큼 세계적인 기술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용할 수 없는 이유는 다름 아닌 국제식품규격인 코덱스 자체가 검사표준이 일괄성 있게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라고 전하고 있다. 또한 각 국에서 제시하는 기준 역시 다르기 때문에 조사 결과가 있어도 일반화하지 어렵다고 전하고 있다.
즉 조사의 진위 여부는 가릴 수 있어도 표준화 인증은 할 수 없는 상황인 가운데 최근 수출됐던 문제가 된 라면을 대상으로 조사해 본 결과 단 하나의 제품에서도 방사선 조사가 이뤄지지 않았다고 밝히고 있다.
현재 세계 52개국에서 230여개 식품에 대해 방사선 조사를 허용하고 있으며 미국은 47개, 영국은 52개, 프랑스 41개, 우리나라는 26개 품목에 대해 방사선 조사를 허용하고 있다.
여타 국가에 비해 품목은 적지만 체계적인 관리나 표시가 이뤄지지 않는 가운데 일각에서는 "검증결과 모든 식품이 안전하다는게 관건이 아닌 방사선조사 과정에서 생성된 일명 '트리물질'에 대한 위해성 정도를 연구하는게 가장 중요한 일"이라고 반박하고 있다.
더군다나 방사선조사가 허가된 품목이 곡류, 두유, 감자, 마늘 등으로 정작 국내에서 가장 소비가 높은 식품인 만큼 보다 신중하게 접근해야 문제라고 전문가들은 충고한다. <강재옥 기자>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