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15일 강원 동해 해역에서 규모 4.5 지진

[환경일보] 기상청(청장 유희동)은 지난해(2023년) 발생한 국내 지진의 특성을 수록한 ‘2023 지진연보’를 발간했다.

지진연보는 규모 2.0 이상 지진의 ▷현황 ▷지진 분석서 ▷진도 분포도 ▷지진파형 및 ▷관측소 정보 등을 담고 있다. 많은 사람이 느낄 수 있는 진도Ⅲ 이상인 주요 지진의 상세 분석서와 동해 해역에서 6개월간 이어진 지진들의 정밀 분석 결과를 수록하여 지진의 이해도를 높였다.

2023년 한반도에서 발생한 규모 2.0 이상의 지진은 총 106회로 지난 디지털 관측의 연평균(70.8회)보다 다소 많은 수준으로 전년 대비 38%(29회) 늘어난 수치이며, 규모 3.0 이상의 지진도 총 16회로 연평균(10.4회)보다 많았다. 이는 동해 해역 연속지진과 북한 길주 지진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연도별 지진 발생 추이(1978~2023년) /자료제공=기상청
연도별 지진 발생 추이(1978~2023년) /자료제공=기상청

남한 지역에서 규모 2.0 이상의 지진은 22회 발생했고 지역별로는 ▷경북 5회 ▷강원 4회 ▷전북 3회 ▷나머지 지역에서는 2회 이하로 관측되었다.

특히 경북 지역에서는 경주(2016)와 포항지진(2017)의 여진이 줄어들어 2016년 이전으로 돌아갔으며 강원과 전북은 예년 수준이다.

지진계에서만 감지되는 규모 2.0 미만의 미소지진은 706회로 전년과 같은 수준이며, ▷대구⸱경북은 2016년 이후 계속 줄어들어 177회 ▷서울⸱경기⸱인천 46회 ▷대전⸱충남⸱세종 34회 ▷전북 34회 ▷충북 30회 ▷강원 30회 ▷부산⸱울산⸱경남 28회 ▷광주⸱전남 25회 ▷제주 9회 순으로 발생했다.

2023년 최대 규모 지진은 5월15일 6시 27분경 강원 동해 해역에서 발생한 규모 4.5 지진으로, 계기 관측 이래 22번째로 큰 지진이다.

지진은 내륙에서 약 50㎞ 떨어진 해역에서 발생하였으나 지진으로 인한 흔들림은 강원(진도Ⅲ)과 경북(진도Ⅲ)뿐 아니라 충북(진도Ⅱ)까지 전달됐으며, 관측 후 8초 만에 지진재난문자가 송출됐다.

2023년 2.0 이상 지진 발생 분포 /자료=기상청
2023년 2.0 이상 지진 발생 분포 /자료=기상청

규모 4.5 지진 발생 이전(4.23.~5.15.)에 12회의 전진과 이후(5.15.~10.24.)에 4회의 여진이 계속됐고, 미소지진을 포함해 총 63회의 지진이 발생했다.

진앙 주변에 설치된 연구용 해저지진계를 활용한 정밀 분석 결과, 동해 해역 연속된 지진들은 약 2㎞ 좁은 범위에서 북동-남서 방향으로 분포했으며 역단층 운동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됐다.

국내에서 계기관측이 시작된 1978년 이후 지진 발생은 2015년까지 완만한 증가치를 보이다가 국내 최대 규모인 2016년 경주지진(규모 5.8)과 2017년 포항지진(규모 5.4)의 영향으로 급격히 증가했다.

이후 두 지진의 여진이 잦아들면서 지진 발생 횟수는 점차 감소세를 보이다 2021년 이후 다소 증가했다.

유희동 기상청장은 “지진은 예측할 수 없는 자연재난으로 평소 지진에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며, 지진재난문자 수신 시 국민행동요령에 따라 행동하시길 당부드립니다”라며 “기상청은 안전한 대한민국을 위해 국가중요시설물에 대한 지진조기경보를 한층 더 강화해 나가겠습니다”라고 밝혔다.

2023 지진연보는 책자와 전자문서(PDF)로 제작됐으며 기상청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