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신항의 개항이 한 달 남은 상황에서 해양수산부는 특단의 조치를 내렸다. 부산 가덕도와 경남 진해시 웅동 일대에 들어서는 신항만의 공식 명칭을 ‘신항’으로 확정하고 영문명은 ‘Busan Newport’로 결정한 것이다.

이는 해양수산부의 항만정책 심의·의결기구인 중앙항만정책심의회에서 결정한 것으로, 오거돈 장관은 이번 결정의 의미를 특정지역의 명칭을 배제해 지역 간 갈등을 최소화하는 반면 영문명은 Busan Newport로 해 대외적으로 잘 알려진 부산의 이미지를 살리는 실리적 측면을 고려한 결정이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해수부의 특단의 조치는 8년간 예민하게 대립해온 부산과 경남도 지역에 설득력을 얻지 못한 것 같다. 브리핑이 발표된 19일 양측 시장은 모두 기자회견을 열어 입장을 밝혔다.

부산 측은 항만의 개장이 임박한 것을 들며 ‘마지못해 수용’하는 입장을 밝혔지만, 경남도는 강력한 반대 의사를 표명하며 법적 대응도 불사할 뜻을 밝혔다. 신항이라는 명칭이 항만법상 공식 명칭인 ‘부산항’의 하위항만일 뿐 아니라 영문명인 Busan Newport는 부산 쪽의 손을 들어준 것과 다르지 않다는 것이다. 이런 추세로 봤을 때 부산에 생길 신항에 대한 명칭 논란은 내년까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내년 1월 19일 북컨테이너 3개 선석 개장식을 시작으로 동북아 물류 허브항으로 발돋움하려는 '신항'에 이런 명칭논란이 어떤 변수로 작용하게 될지 생각할 필요가 있다. 중국은 양산항을 개장하면서 동북아 물류 허브로 키우겠다는 포부를 밝히고 있으며 실제 부산항에 위협이 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실제 양산항은 한국과 일본을 포함한 동북아의 모든 화물을 싹쓸이하겠다는 목표로 오는 2020년까지 50개 선석 규모의 건설을 계획하고 있다. 부산항은 누가 봐도 비상이 걸린 상태인 것이다.

그러니 신항의 경쟁력이 위기에 처해 있는 지금의 현실 속에서 항만의 명칭을 주제로 한 ‘집안싸움’은 그야말로 누워서 침 뱉기밖에 되지 않는다. 이제 중요한 것은 실리(實利)다.

8년간 묵은 논란이 쉽게 무마될 것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다만 적은 내부가 아닌 외부에 있음을 인식하고 서로 양보할 부분은 양보하면서 실리를 향해 가는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