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미군들이 주둔해 있는 서울 용산지역은 2008년 이후 한국 정부로 반환된다. 이번 반환은 100년이 넘도록 외국 군대가 사용해오던 용산 미군기지 자리를 되찾는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용산은 도심인 동시에 부도심의 역할을 하고 있는 요충지로 이 장소의 활용은 추후 서울시의 색깔을 결정짓는 중요한 사안이 될 것이다. 때문인지 문화공원화·생태공원화 등 활용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다.

이런 흐름 가운데 지난 19일 국립중앙박물관 대강당에서 ‘용산의 과거와 미래’라는 주제의 심포지엄이 열렸다. 이는 용산민족·역사공원건립추진단과 한국조경학회가 주관한 것으로 국무조정실 산하 주한미군기지대책단의 의뢰에 따라 추진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자리에서 이어령 전 문화부장관은 용산 미군기지를 최대한 텅 빈(void) 공간으로 남겨 후대에 사용할 수 있는 유동공간으로 남겨두자고 했다. 물론 전체적 흐름면에서는 차이가 있겠지만 이 전 장관의 의견은 홍성태 상지대학교 교수가 주장한 생태숲으로의 용산기지 재생이라는 의견과 그리 다르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시민 공공의 공간에 어느 한 쪽의 입김만이 작용할 수는 없는 것이니, 추후 이뤄질 논의들을 통해 용산의 재탄생이 이뤄질 것이다. 실제 한국조경학회의 박종화 회장은 내년에 여러 차례의 심포지엄을 계획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여러 기관의 의견을 수렴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런데 여러 기관의 목소리에서 과연 서울시는 어느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가 하는 의문이 든다. 물론 미군이 사용하던 자리에 대한 계획을 세우고 있으니 국무조정실 산하의 주한미군기지대책단이 나서는 것은 어쩌면 당연하다. 그렇게 본다면 추후 서울 시민들이 이용할 공간을 만드는 일에 서울시가 함께해야 하는 것도 당연한 일이 아닐까.

일이 추진된 전후의 과정이 그리 단순하지만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생각해야 할 것은 궁극의 목표다. 용산기지는 추후 시민들이 이용할 공공의 장소가 될 것이라는 목표를 가진 장소인 것이다. 서울 시민의 목소리를 아우를 수 있는 대표기관이 제외된 현실을 납득하기 힘들다.

<권경화 기자>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