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만리장성 이후 중국 최대의 공사인 싼샤댐 준공식이 열렸다. 싼샤댐의 준공으로 중국은 홍수문제뿐만 아니라 경제적 이득도 챙길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1900년도 이후 30여만 명이 홍수로 목숨을 잃었지만 댐 건설로 인해 첫 번째 목표인 홍수 방지는 무난할 것으로 보인다.

두 번째 목표인 경제지구 건설도 평탄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지역에 홍수 방지가 이뤄지면 안전한 하천 부지가 생긴다. 이 부지에 농업용지·산업단지가 들어선다고 한다. 이러한 토지이용과 댐을 이용한 수력발전이 맞물리면 농산물·공산품의 저렴해질 것이다.

하지만 준공식은 초라했다. 당연히 참가해야 할 후진타오 주석뿐만 아니라 국가지도자들은 얼굴도 비치지 않은 것이 뉴스가 됐을 정도다. 아마도 생태계·환경 파괴, 문화유산 수몰, 이주민 문제 등에 대한 부담 때문일 거라는 해석이다.

우리가 그들의 문화유산과 이주민 문제까지 신경 쓰기에는 할 일이 너무나 많다. 하지만 꼭 짚고 넘어가야 할 걸림돌이 있다. 서해의 ‘환경파괴’ 문제가 그것이다. 싼샤댐이 완공되면 양쯔강 물의 서해 유입량이 최소한 10% 정도 줄어든다는 것이다.

담수가 줄어들면 서해의 염분농도가 올라가 어장이 파괴된다. 결국 서해(西海)는 사해(死海)로 바뀐다는 주장이다. 중국의 홍수 방지대책의 일환으로 만들어진 싼샤댐이 결국 한국 서해의 환경파괴에 일조한다는 말이다.

아직까지 전문가들의 주장은 엇갈림이 있지만 내국민 보호 차원에서의 정부의 행동은 미미하기 그지없다. 정부는 조금이라도 우리나라의 환경에 영향을 미친다는 여지가 보이면 철저히 조사해야 마땅하기 때문이다.

환경운동연합 관계자는 본지와의 인터뷰를 통해 “정부의 대책은 2004년 해양환경조사를 한 것이 다일 뿐”이라며 “지극히 소극적”이라고 비판한 바 있다. 그는 “염분농도 상승뿐만 아니라 393억 톤의 물이 계속해서 고여 있으면 썩기 마련”이라며 “그 물이 다시 서해로 유입되면 돌이킬 수 없는 일이 일어날 것”이라고 경고했다.

정부는 지난 2004년부터 ‘싼샤댐 건설이 동중국해의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과학적인 조사를 통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오고 있다. 싼샤댐 공사는 13년 전에 시작됐으나 정부의 조사는 2년 전부터 시작한 것이다.

해수부 관계자는 “다각도로 중국 정부에 압박을 가하고 있다”고 한다. 또 “한·중환경협력공동위원회 제10차 회의와 제11차 회의를 통해 공동연구를 제의 중”이라고 밝혔다. 이미 건설된 댐에 압박을 가한들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앞으로 한발 빨리 대처하는 정부의 모습을 기대한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