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절약 자발적 협약’ ‘1회용품 줄이기 자발적 협약’ ‘재활용 자발적 협약’ 등 자발적 협약이라는 말은 이미 친숙하게 느껴질 정도로 자주 들려오곤 한다. 말 그대로 기관 간에 스스로 특정한 목적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약속으로 주로 대기업과 정부 간에 체결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자발적 협약은 ‘자발적’임을 대전제로 삼고 있으므로 강제성이나 잘못에 대한 책임을 강요받지 않는다. 따라서 말만 자발적이지 과연 실효성이 있을까 하는 의문도 든다.

사실 업체 입장에서 자발적 협약을 채결했다는 것은 대외적으로 좋은 이미지를 줄 수 있지만 그만큼의 책임이 따르기 때문에 대체로 반가워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자발적 협약이 줄을 잇는 이유는 정부의 의지가 각 기업의 CEO들에게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특히 규제기관이라 할 수 있는 환경부는 마음만 먹으면 어렵지 않게 자발적 협약을 만들어낼 수도 있다고 한다.

자발적이라고는 하지만 그 시행 경위와 성과가 대외에 보고되는 게 일반적이기 때문에 협약을 체결만 해놓고 무시할 수는 없다. 강제성은 없지만 제대로 이행하지 않을 경우 돌아오는 이미지 손상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여기까지 놓고 보면 자발적 협약이 체결된 이유야 어떻든 분명한 성과는 있어 보인다.

하지만 그 성과를 만들어 내는 것은 다름 아닌 기업의 실무자들이다. 기업의 CEO들이 정부 고위인사들과 한 자리에 모여 협약의 성과들에 대해 자랑스럽게 보고하는 이면에는 실무자들의 노력에 의해 탄생한 것이다. 앞서 이야기한 반갑지 않다는 것도 바로 이 실무자들의 이야기다.

외면상으로는 자발적이지만 이를 직접 시행하는 사람들은 대부분이 비자발적인 것이다. 그러나 이마저 없다면 결국 규제와 강제가 필요하게 될 것이므로 사전에 미리 준비하고 기업 이미지도 제고할 수 있는 만큼 자발적 협약도 우리 사회에 꼭 필요한 부속이 아닐까 한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