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원장 남인석)은 3월 26일 지식경제공무원교육원에서 제품안전 관련 주체 4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1회 제품안전관리 민ㆍ관합동워크숍’을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날 워크숍에는 전국주부교실중앙회ㆍ대한주부클럽연합회ㆍ녹색소비자연대ㆍ한국소비생활연구원 등 4개 소비자단체와 한국생활안전연합 1개 시민단체 소속의 안전감시원 150명과 (주)인터파크지마켓ㆍ(주)롯데닷컴ㆍ(주)디앤샵ㆍ(주)GS홈쇼핑ㆍ(주)현대홈쇼핑ㆍ(주)우리홈쇼핑ㆍ(주)인터파크ㆍ(주)옥션ㆍ(주)CJ홈쇼핑ㆍ(주)농수산홈쇼핑ㆍ(주)신세계아이앤씨ㆍ(주)뉴코아ㆍ롯데쇼핑(주)ㆍ(주)GS리테일ㆍ한국온라인쇼핑협회 등 15개 판매업체 관계자 34명이 참석했다.

또한 전국의 지방자치단체 제품안전 담당공무원 187명, 한국전기전자시험연구원 등 8개 인증기관 및 한국전기제품안전협회 관계자 64명이 참석했다.

남 원장은 인사말에서 최근 제품안전에 관한 사회적 관심과 요구가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유해물질이 함유된 공산품과 다양한 신종제품 등 불법ㆍ불량제품의 유통으로 안전위해가 상존하고 있다면서 자체 공무원의 전문성 확보와 제품안전의 취약분야ㆍ사각지대라고 할 수 있는 수입위해제품, 전자상거래에서의 불법ㆍ불량제품 등의 유통 근절을 위해 국내의주요 판매업체, 소비자단체, 시민단체 및 정부 등 관계자가 함께하는 자리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기업, 소비자, 시민단체가 책임있는 주체로서통합적 네트워크를 구축함으로써 서로 협력하고 견제하면서 안전선진국을 만들자고 강조했다.

이날 워크숍은 제품안전에 관한 특강, 제품안전관련 법ㆍ제도 설명과 사례발표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진행돼 제품안전관리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각 주체의 역할을 새롭게 인식하는 계기가 됐다.

‘생활과 제품안전’ 특강에 나선 한국소비자학회 상임이사인 성신여대 허경옥 교수는 소비자가 충분한 안전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정부는 다양한 채널을 구축하고 소비자지향적인 제품안전정책을 수행해야 할 것이라고 정부의 역할을 제언했다.

한국제품안전학회장인 중앙대 이종영 교수는 법이론에 기반한 제품안전성 증대방안으로 제품안전기준의 강화속도는 특정제품별 기술수준에 따라야 하며 제품안전정책은 산업정책과 조화 속에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시했다.

이외에 기술표준원의품질경영및공산품안전관리법ㆍ제도및 전기용품안전관리법ㆍ제도와 관세청의 수입물품 통관검사제도 설명에 이어 전국주부교실중앙회 소속의 안부일 안전감시원의 제품안전감시 활동사례 소개 등으로 진행됐다.

<이상수 기자>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