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너-설스턴-호비츠 노벨의학상 공동수상


올해 노벨의학상은 영국 시드니 브레너(5)와 H.로버트 호비츠
(55), 존 E. 설스턴(60) 박사 등 3명이 공동수상한다고
스웨덴의 카롤린스카연구소 노벨상 선정
위원회가 7일 발표했다.

선정위는 이들이 선충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장기의 성장과 잉여
세포를 제거하는데 필수적인 과정인 세포의
자살을 조절하는 핵심 유전자들을 규명해 에이
즈, 뇌졸증 등과 같은 많은 질병의 진전
과정을 밝힐 수 있는 전기를 마련했다고 선정이유를
밝혔다.

성인의 신체에서 형성되는 대량의 세포는 생성과 동시에 '세포
예정사'(細胞豫定死, programmed cell death)를
진행한다. 세포의 자살이라 불리는 이 '세포사멸 프로그램'은
신체를 구성하기 위한 적정 규모의 세포를
유지하기 위한 정상과정이다.

3인의 수상자들은 선충의 한 종류인 `Caenorhaditis
Elegans'를 실험모델로 사용, 각 생명체
에서 세포가 분화, 사멸하는 과정을 연구한 결과 세포의 자살
에 작용하는 유전자를 발견해 내 '세포사멸
프로그램'에서 한 단계 발전한 '세포사멸 메카니
즘'을 처음으로 규명해냈다.

이들은 세포사멸유전자의 작동 스위치를 판명, 사멸유전자가 세
포의 생존시는 활동치 않다가 세포의 생명력이
다 할 때쯤 활동하기 시작한다고 밝혔다.

때문에 세포가 정상사멸하면 질병이 생길 이유가 없지만 그 외
비정상적으로 사멸할 겨우 염증이 남아
질병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또 세포사멸의 시기가 지난 뒤에도 본 수명보다 오래 생존할 경
우 암세포로 변이해 주변을 오염시키게 되고,
반대로 일찍 사멸할 경우에는 치매 등 퇴행
성 질환을 유발한다.

남아공 출신의 영국인인 브레너 박사는 케임브리지 대학 분자생
물학연구소에서 고등생물의 경우 세포의
분화와 기관의 발달과정을 추적하기가 어렵다는
사실을 알고 C.elegans를 연구모델로
삼아 세포의 분열과 분화, 기관 발달과의 연결관계를 밝
혀내는 작업을 했다.

설스턴 박사는 영국 케임브리지대학 생거센터 교수를 역임하며
브레너 박사의 연구를 확장해
C.elegans의 세포분열을 연구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C.elegans가 959개의 세포를 가진
성체로 발전하는 세포분열을 연구, 모든 성충류가 세포예정
사와 분열의 과정을 밟으며, 이 과정에 유전자
돌연변이인 nuc-1이 참여한다는 것을 입증했다.

미국 매사추세츠 공대(MIT) 호비츠 교수는 시카고 태생으로
1970년대부터 일련의 연구를 통해 세포예정사를
조절하는 주요한 유전자의 특성을 밝혀내고
유전자가 세포예정사 과정에서 작용하는 방법,
그리고 이와 같은 유전자가 인체에도 존재한
다는 점을 입증했다.

이들에 대한 시상식은 12월10일 스톡홀름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