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kbs_img_1

지난 17일 성프란치스코 회관에서 열린 한미 재생가능에너지 정책 국제 세미나(환경정의시민연대, 에너지시민연대 주최)에서 정부는 2011년까지 5%의 재생에너지 보급 목표를 세우고 있다고 밝혔다.

hkbs_img_2

에너지기술연구원 신재생에너지연구부 박순철 부장은 '재생가능에너지 정책의 현황과 과제발표'에서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개발 및 보급의 정책 목표에 대해 "에너지원을 다양화하고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활성화로 기존 화석에너지원의 이용에 따른 환경위해를 저감하게 함으로써 환경보전과 국가경제의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발전과 국민복지의 증진을 목적으로 한다"고 말했다. 또한 "정부는 2002년 2%의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2006년까지 3%, 2011년까지 5% 달성 목표로 하고있다"며 "2011년에는 태양에너지와과 풍력으로 전체의 14%가량을 보급할 계획이고 이를 위해 2011년까지 약 9조원의 예산을 투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신재생 에너지 보급 활성화를 위해 신재생에너지 산업 인프라 구축과 보급 환경을 조성, 시장기반 활성화를 위한 기초 수요의 확보, 보급유인을 위한 경제성 확보 지원, 법적 제도적 개선책 및 지원제도 재원조달을 세부 정책목표로 선정하였으며 전문가뿐만 아니라 시민단체 및 온국민의 동의와 그 힘이 결집되어야 한다고 박부장은 덧붙였다.

또한 미 델라웨어대 에너지환경정책 연구소 John Byrne 소장의 '미국사례로 본 한국의 미래와 자세'와 경북대 경제통상학부 김종달 교수의 '대구 솔라시티 프로젝트의 교훈'에 대한 발제로 향후 국내 신재생에너지 개발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글/사진 이석기 기자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