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kbs_img_1
<이번 계획으로 김 산업이 WTO/DDA, FTA 대비, 경쟁력있는 산업으로의 전환을 기대하고 있다.-자료사진->

해양수산부는 김 양식어업을 경쟁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김 산업 구조개선 계획'을 지난 22일 확정하여 본격적으로 시행에 들어갔다.

이번 계획은 김산업의 건전한 육성발전을 위하여 양식어업 관측제와 유통협약제를 중점추진하여 관련업계가 자율적으로 생산, 출하 할 수 있도록 하며, 생산자는 제값을 받고 소비자는 고품질을 제공받을 수 있는 구조로 탈바꿈시키는 것을 주요 골자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인공위성 사진을 촬영한 김양식어장 실태조사를 토대로 지자체주관으로 어장정비를 실시하는 한편, 불법시설에 대하여는 단호하게 대처할 계획이다. 또한 주기적으로 시설, 생산, 가격 등에 대한 정보를 입수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여 내년 9월부터 관측정부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이밖에도 유통협약은 지자체가 주관하여 실시하되, 생산자, 가공인, 소비자, 행정기관 등이 참여하는 '유통조절추진위원회'를 구성하여 시설과 생산, 출하조절을 자율적으로 할 수 있는 단계까지 추진하게 된다.

해양부 관계자는 "지금까지 김산업이 과점, 밀식으로 인한 과잉생산, 품질저하와 수익저하 등의 악순환이 반복되었으나 이번 계획을 충실히 시행하며 경쟁력있는 산업으로 전환될 것으로 보인다"며 "WTO/DDA, FTA 협상 등에 의한 현실에서 관련업계의 자생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어류, 패류, 해조류 등 수산업 전반을 대상으로 양식어업관측을 확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관식 기자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