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A는 지난 5월11일 2005년도판 유해화학물질배출목록을 발간했다. 이는 미국 내 발전소, 제련소, 화학공장, 제지공장 및 다른 시설에서 사용/배출되는 유해화학물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인벤토리이다. 각 시설은 EPA와 주정부에 관련자료를 제출토록 되어 있다.


2003년도 유해화학물질배출목록 데이터를 보면 중대서양 지구에만 총 402,400,000 파운드(약 182,500 톤)에 달하는 유해화학물질이 공기중, 수중 및 토양중에 배출됐다. 이는 2000년 464,700,000 파운드에 비해 13.4% 줄어든 수치이다. 배출량은 매년 감소하는 추세다.


도널드 웰시(Donald S. Welsh) EPA 중대서양 지방행정관은 “유해화학물질배출목록은 산업계를 위한 공공리포트나 마찬가지입니다. 화학물질배출감소에 있어 얼마나 발전이 있었는지를 실제로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목록의 데이터는 시민, 학계, 정부, 시민단체와 산업계에서 사용됩니다. 또한 오염예방에 대한 강한 동기를 부여합니다”라고 유해화학물질배출목록 발간의 의의를 설명했다.


유해화학물질배출목록은 지역사회에 귀중한 정보를 제공하고 시설에는 자원절약, 오염예방 등을 통해 유해화학물질을 환경중에 방출하는 것을 감소시키도록 자극한다.


기업의 유해화학물질배출목록 자료 리포팅은 1986년 제정된 「긴급명령 및 알권리에 관한 법(Emergency Planning and Community Right-to-Know Act)」에 근거한다. 인벤토리에서는 양, 위치, 환경중 배출형태(공기중, 수중, 토양중)에 대한 정보를 수록해 놓고 있다. 또한 처분이나 추가처리를 위해 폐기물 이송에 관한 정보도 포함된다.


중요한 것은 본 목록 리포팅을 통해 화학물질 배출에 대한 EPA 보고가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또한 본 목록은 오염물질 불법배출을 반영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목록에 포함된 정보는 온라인으로 손쉽게 열람할 수 있다.




주 : 유해화학물질배출목록(Toxic Release Inventory 혹은 Toxic Chemical Release Inventory : TRI)은 국가마다 다른 용어로 사용되나 내용은 거의 유사하다. OECD와 일본에서는 PRTR(Pollutant Release and Transfer Registers)으로, EU에서는 EPER(European Pollutant Emission Register)이라는 용어로 불리며, 영국에서는 PI(Pollution Inventory), 네덜란드에서는 IEI(Individual Emission Inventory) 등으로 사용된다.




<자료 2005-05-11 미국 EPA / 정리 김태형 기자>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