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환경일보】김용애 기자 = 국제자연보호연맹(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and Natural Resources : IUCN)은 최근 동식물 상태를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1/3정도의 종류들이 이미 멸종위기 상태에 놓여 있어 많은 동식물들이 빨간리스트에 올려져야만 했다고 한다.
총 조사 대상 47677종류 중 17291 동식물이 빨간리스트에 포함돼 한마디로 생태계 다양성이 점점 사라지고 있다는 결과에 도달하고 있는 자연환경으로 발표되었다.
IUCN은 1948년 10월5일에 설립돼 스위스 글랜드에 자리잡고 있다. 2007년도에 집계된 연맹회원들은 1056개로 기록돼 있으며, 이중 국가자체, 각 국가 정부들이 많은 부분으로 차지하고 있으며, 국제 그리고 국내적인 일반단체(NGO)들이 여기에 포함돼 있다. 국제자연보호연맹에는 ‘Knowledge Network’를 통해 1만여명의 봉사자들이 또한 기록돼 자연과 환경을 보호하는데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IUCN은 1963년부터 지구에 분포된 동식물들을 조사·집계해 상태를 파악하고 있다. 각각의 종류들이 놓여진 현 상황으로 분석된 자료와 함께 위험한 상태라고 판단됐을 때 바로 빨간리스트에 올려 멸종위기를 경고해 특별한 보호를 요청하고 있다.
전세계 적으로 약 1000만 종류의 동식물이 분포돼 있다는 예측으로 특별종류에 따라 더 자세한 분석을 한다면 멸종위기의 동식물이 더 많을 것으로 평가돼 알게 모르게 사라지는 종류가 발견되지도 않고 발표이다. 이렇게 많은 동식물들이 위협받는데 중요한 요인들로는 우림지역에서의 벌체, 무분별하게 계획없이 그리고 충분한 조사나 분석이 없이 개발되는 불법건설, 생산성이나 유익성을 위해 과다하게 이용되는 자연과 환경 때문으로 보고 있다. 이에 덧붙혀 현재 기후변화에 많은 생태계가 소멸되고 있는 위험에 놓여져 또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조사결과이다.
![]() |
| ▲ 금색 개구리 |
많은 동식물 종류가 사라저 생태계다양성이 위협받는데는 각각 종류자체에서 발생되는 원인은 아주 드물며 대부분 인위적인 변화에 그 주요 요인을 두고 있다. 한 예로 댐건설에 의해서 변화된 서식지역으로 이에 적응하지 못해 약 90%까지의 아프리카 한 종류로 알려진 개구리들이 사라졌다는 사실이다. 또한 멸종뿐만이 아니라 새로운 병균까지 발생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어 계속적인 악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독일 WWF의 발표이다.
자연과 환경을 인위적으로 침입해 발생된 파괴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런 영향은 그 어떤 악 영향보다도 1000배가 높게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어 그 위험성이 크다는 경고를 고 있다. 이를 증명할수있는 양서류 멸종위기가 한 예이며, 현재 가장 대표적인 경우는 포유동물들이 사라졌으며 계속해서 사라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 |
| ▲ 멸종위기에 놓여진 호랑이 |
약 5490 포유동물종류 중에서 1/5정도가 위협받고 있으며, 형적인 멸종위기에 놓여진 호랑이를 보면 알 가 있게 한다. 지난 10년 안 약 40%의 호랑이가 사라졌는데 만약 이런 추세가 계속된다면 앞으로는 호랑이를 단지 원에서만 볼 가 있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또한 수많은 도로건설에 의해서 파괴된 생태계지역으로 야생고양이가 현저히 줄어든 사실이다. 기록된 고양이는 단지 3200마리로 점점 감소되고 있다는 조사자료이다.
현재 가장 많이 보도되고 는 멸종위기의 동물은 바로 백곰이다. 기후변화에 따라 북극의 빙산이 사라지기 때문에 백곰들은 자신의 서식지를 잃어버리면서도 변화된 서식지 생태계로 인해 먹이를 찾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뜻해진 북극은 얼음이 녹는 시기가 빨라지고 있으며 녹는 기간도 예전보다도 장기간으로 지속되고 있다. 이에 따라 백곰들은 먹이를 사냥하는 지역에서 그 행위를 중단하고 다시 안정성이 는 지역으로 철회를 해야 된다는 사실이다. 짧아진 사냥기간의 결과로 필요한 지방질을 형성할 수 없게 된 백곰들이다.
특히 백곰어미들은 새로 태어난 백곰아기에게 먹일수있는 젖이 부족해 큰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렇게 계속된 변화와 상황의 진전으로 현재 백곰들이 자연과 함께 서식하고있는 통계로 단지 약 2만마리에서 2만5000마리로 예측이 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