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환경일보】김용애 기자 = 프랑스는 전기 교통수단을 확장하기 위해 대대적인 프로그램을 선정 시행하고 있으며 미래 계획안을 발표했다. 약 15억유로를 전기자동차의 개발발전 분야와 관련해 인프라 제도에 재정을 투자하기로 확정했다. 이중 일반소비자가 전기자동차를 구매할 때 지급되는 보조금 제도는 이미 전년도부터 5천유로를 확보· 시행하고 있다.
정부차원에서 마련된 투자 프로그램은 전적으로 전기자동차를 활성화시키는 목적으로 확정됐으며 먼저 충전소를 설치해 인프라구조를 개선하고 있다. 프랑스는 유럽국가중 전기자동차 이용으로 미래의 교통수단을 마련에 선두역할을 하고 있다.
먼저 전기교통수단을 현실화하기 위해서 일반 주택지역의 주차장에 필요한 충전소를 설치하는 대책을 마련했으며 인프라 제도 개선을 통해 교통제도를 근본적으로 변형화하고 있다. 프랑스의 자동차 기업 르노, 일본 닛산 기업이 공동협력으로 2012년부터 중형 승형자를 전기모토 형으로 시중에 보급할 예정이다. 약 6억2천5백만 유로를 투자해 충전배터리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이중 1/5은 국가차원에서 재정 보조로 개발비용에 있어서도 상당부분 해결되고 있다.
지난 10월에 프랑스 환경부장관과 자동차생산기업들은 에너지 및 전기자동차의 교통수단화라는 제목으로 회의가 개최됐다. 프랑스 정부는 “이산화탄소 배출을 감축하는 친환경 자동차를 전적으로 활성화시키는 목적을 향해 추진중이다”라고 밝혔으며 이와 관련 14개의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발표했다. 배터리 분야 연구를 핵심으로, 청정한 자동차의 생산 개발을 진행중이다.
또한 프랑스 전국에 충전소 네트워크를 설치하는데 주력할 것이라 밝혔다. 전기자동차 활성화 안은 이미 프랑스 대통령 니콜라스 스타코찌가 목적한 기후변화에 대응해 온실가스배출 감축이라는 ‘녹색 계획안’의 일부분이다.
프랑스는 4천400억유로의 재정을 환경프로그램 대책마련에 대거 투입하고 있으며 특히 202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분야를 활성화 할 예정이다. 2020년도는 유럽은 정책 방향에 있어 친기후 프로그램을 모델로 구축하고 있으며 프랑스도 이에 발을 맞춰 2020년도까지 최소한 2백만 전기자동차를 도로에서 달리게 한다는 계획이다.
친환경 교통수단을 공급해 계획을 실행하고 있으며 이를 발전시켜 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즉, 교통인프라를 전기자동차에 알맞게 개선하는 것이다. 정부는 2백만 전기자동차 그리고 2020년을 대비해 필요한 충전소를 프랑스 전역을 통해 2015년까지 1백만개를 설치 완공 프로그램을 구상중이다. 이중 90%는 일반 주택에, 모든 주차장에 그리고 공공건물이나 시설에 설치될 예정이다. 단기적인 안으로 2012년부터는 모든 주택지역 주차장에 충전소가 설치, 2020년까지는 4백만 충전소 설치될 것으로 분석된다. .
프랑스는 국가기관의 의뢰로 약 100,000개의 자동차 기업과 전기자동차공급 약정을 맺었다. 환경부장관은 2015년까지 정부와 기업이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자동차기업의 한 대표는 온실가스배출감축을 위해 정부와 기업이 한 방향을 지향해 전기자동차 개발·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했다.
전기자동차를 확산에 대한 계획은 바로 전력공급과 직결된다. 현재 프랑스는 원자력발전소를 통해 대부분 전력을 생산·공급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원자력발전소측의 영향력이 중요한 문제이며 에너지 생산을 수입에 지나치게 의존한다면 이는 에너지 과다 소비현상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가장 좋은 대책의 일환으로 전기자동차를 활성화시켜 전력공급과 소비를 안정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아낸다는 것이다. 하지만 전기자동차가 갖고 있는 친환경성은 필요한 전력을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충당할 때 진정한 의미의 친환경자동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