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일보 김원 기자] 농촌진흥청(청장 김재수)은 지난해 3월 발족한 ‘녹색기술 현장지원단’이 총 171차례에 걸쳐 전국의 농촌현장을 직접 방문해 기술지원 활동을 전개한 성과를 분석해 그 결과를 발표했다.
‘현장중심 고객만족’의 정부정책을 실천하고, 농업인들의 어려움을 신속히 해결해 주는 ‘이동식 농업종합병원’의 역할을 수행하고자 농업분야 최고 전문가들로 지원단을 편성했다.
![]() |
| ▲육묘공장 피해조사 |
현장기술지원 대상 품목은 채소가 46%로 가장 많고, 과수 26%, 벼농사 14%, 화훼 6% 순이었다. 기술지원 내용은 병해충 25%, 생리장해 19%, 농약과 토양비료가 각각 18% 순이었고, 유형별로는 일반기술지원 55%, 피해원인 분석 26%, 분쟁 민원 17% 등이었다.
간이분석 장비 등을 활용해 현장의 애로사항을 즉시 해결해 준 실적은 전체 지원건수의 90%로 지난해 79% 보다 11%p 높아졌다.
![]() |
| ▲원줄기 상태 조사 |
현장에서 해결하기 어려운 사항 11건은 현장애로기술 연구과제로 추진하고, 현장기술지원 후 종합검토한 의견과 실험실에서 정밀 분석한 결과는 해당 시군농업기술센터를 통해 사후 통보해주며, 필요 시 현장설명회를 개최하는 등 사후관리에도 만전을 기했다.
최근 기후변화와 환경오염 등으로 농촌현장에서 다양한 병해충과 생리장해 등이 크게 증가하고 있어 농촌진흥청은 올해 예방적 차원의 사전, 사후 현장지원을 함께 추진하는 등 ‘녹색기술 현장지원단’의 활동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농촌진흥청 농촌현장지원단 최동로 단장은 “지난해 성과를 바탕으로 미흡한 점은 보완해 앞으로도 농업인의 어려움을 현장에서 신속하게 해결하고, 농업․농촌 발전에 기여하는 전문서비스 기관으로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