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철_주무관
주민참여 통한 아래에서부터의 디자인 필요
삶의 수준 향상, 도시 경쟁력 강화 기여

 

[환경일보 박균희 기자]현대 도시문명은 인간의 삶의 질을 추구하고 인간 본연의 가치를 찾고자 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쾌적하고 풍요로운 도시에서 아름다운 환경을 벗하며, 전통문화와 역사를 가꾸면서 그것을 경쟁력으로 삼아 발전하려는 열망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인식변화 속에서 최근 부각되고 있는 분야가 공공디자인이라는 분야다.

 

공공디자인은 도시 내 복잡성을 갖는 다양한 요소 중 공공영역을 구성하는 대상물을 디자인해 공공성의 표출과 함께 사회구성원의 삶의 수준을 향상하고 도시의 경쟁력을 높이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또 공공영역 안의 다양한 대상물의 색채, 형태, 기능을 디자인하는데 그치지 않고 개별 요소들이 전체 공공공간의 질서 속에서 서로 조율되고 통합된 형태로 재정리되는 것을 지향하고 있으며 그 디자인 대상은 도로․광장․공원과 같은 공공공간, 거리에 설치되는 가로시설물과 같은 공공시설물, 옥외광고물․안내판 등과 같은 공공매체, 관공서․문화시설 등과 같은 공공건축물로 구분된다.

 

이에 지방자치단체마다 도시의 경쟁력 강화를 표방하고 경쟁적으로 '공공디자인 도시'를 표방하며 적극적인 투자와 홍보활동에 적지 않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하지만 이러한 활동에서 몇 가지 간과한 문제점과 눈에 보이는 것에만 집착해 발생하는 오류가 몇몇 자치단체에서 드러나고 있다. 즉 공공디자인(public design)영역이 아직 그 개념과 디자인적 기반조차 제대로 정립하지 못한 상황에서 많은 예산이 초기에 투입됐고 단순한 양적 확대에 주안점을 두었기에 사용자 중심의 편익성과 안정성, 사후관리의 용이성, 심미성 등 기술적 측면에서 다소간의 시행착오를 보이기도 하며 다양한 소관부처가 앞다투어 본연의 영역이라고 경쟁하는 관계 속에서 관련법률 및 제도의 혼선까지 더해져 체계적·종합적 관리운영이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데서 기인하는 것도 사실이다.

 

그렇다면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추진하는 공공디자인 사업은 어떤 방향으로 추진해야 그 지속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을까?

 

우선 주민참여를 통한 아래에서부터의 디자인을 구현해야 할 것이다. 공공디자인의 태동에서부터 지금까지의 공공디자인은 선진도시의 좋은 사진 몇 장만을 들고 '열등한 디자인을 한 우리는 반성해야 하고 선진국과 같은 도시 디자인을 구현해야 한다'는 일종의 '선동적인 공공디자인 운동'에 휩싸인 면이 적지 않다. 그리고 공공디자인을 선진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외국물 좀 먹은 안목 있는 우리가 디자인한 것을 수용해야 한다'는 고압적이고 불친절한 '디자인적 강요'가 적지 않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공공디자인의 수혜자인 이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 즉 이용자와 같이 디자인하는 과정이 간과할 수 없는 필수적 요소이다. 이를 통해 사람과 도시와 자연이 조화를 이루는 따뜻한 도시디자인이 강조되고 사람들의 감성과 감정을 배려하는 이모셔널디자인(Emotional Design) 및 주변 환경과 조화로운 하모닉 디자인(Harmonic Design)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지금까지 일부 자치단체에서 추진한 공공디자인의 유형은 가로시설물 및 사인시스템 등 지엽적인 단위시설물의 디자인에 몰두한 경향이 있고 이러한 결과로 숲이라는 도시공간 전반에 대한 공공디자인을 구현하지 못하게 됐다. 그러나 '도시'는 공적 영역의 공간인 공원, 광장, 보행자도로, 녹지, 하천 등의 공공공간과 공공의 건축물, 공공시설물, 공공 시각매체를 포함한 전체적인 공간과 그 공간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행태가 어우러진 유기체적 융합물임을 고려하고 이에 대한 관계성과 지속가능, 재생, 환경의 질을 높이는 공공디자인 활동이 필요한 것을 인식할 때 비로소 진정한 공공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공공디자인은 태동기의 실행적 오류를 넘어서 새로운 융합과 결합을 시도하고 있으며 앞으로의 방향은 다음의 몇 가지로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시에서 과도한 에너지 소비의 한 축이었던 공공디자인은 녹색성장의 시대를 맞아 새로운 녹색공간을 창출하고 경제성과 새로운 고용을 유발하는 생산적 공공디자인으로 변모할 것이다.

 

또 도시의 생태환경과 청정에너지, 친환경 건축물이 융합된 녹색공간에 지역의 문화자원을 엮어내는 녹색 커뮤니티디자인의 가치가 중요시될 것이다. 이는 시민참여 중심의 마을 만들기와 같은 지역커뮤니티 형성과 지역통합의 핵심적 도구로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도시와 도시 환경을 논할 때 ‘생태’와 ‘디자인’이 생소하지 않은 새로운 융합의 시대, 그 현장에 여러분도 서 있음을 인지하고 우리를 이끄는 융합의 시대에 도시생태, 지역커뮤니티, 공공디자인을 더욱 친근한 눈길로 지켜보고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할 필요가 있다.


swoo@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