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일보 한이삭 기자] MB정부가 출범한 이후 지난 3년간 신재생에너지산업(제조업 기준)은 기업체수 2.2배, 고용인원은 3.6배, 매출액은 6.5배, 수출액은 5.9배, 민간투자는 5배로 크게 증가해 ‘저탄소 녹색성장’의 국가발전 패러다임이 신재생에너지산업 분야에서 두드러진 성과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0년 신재생에너지산업 규모는 전년대비 기업체수는 12% 증가한 215개, 고용인원은 29% 증가한 13,380명, 매출액은 58% 증가한 8조1,282억원, 수출액은 77% 증가한 45.8억불, 민간투자는 22% 증가한 3조 5,580억원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11년도 전망은 전년대비 고용인원은 28% 증가한 17,161명, 매출액은 78% 증가한 14조5,072억원, 수출액은 84% 증가한 84.2억불, 민간투자금액은 16% 증가한 4.1조원으로 전망됐다.

 

이는 지식경제부가 신재생에너지산업 현황조사를 위해 전문조사기관인 (주)솔라앤에너지를 통해 태양광, 풍력, 바이오, 태양열, 지열, 연료전지 등 6개 신재생에너지원 220여개 제조업체를 전수조사한 결과, 이와 같이 나타났다. 이러한 신재생에너지산업 중에서도 특히 태양광과 풍력산업의 성장이 크게 두드러져서, 제2의 반도체 및 조선산업으로서의 성장가능성을 크게 엿볼 수 있다.

 

 ‘10년 태양광산업 규모는 ’07년 대비해 제조업체수는 3.2배 증가한 97개, 고용인원 수는 7.4배 증가한 8,579명, 매출액은 13.4배 증가한 5조9,097억원, 수출액은 21.4배 증가한 37.9억불 수준이다. 그리고, ‘11년 태양광산업은 전년대비 고용인원은 38% 증가한 11,807명, 매출액은 76% 증가한 10조4,231억원, 수출액은 76% 증가한 66.7억불, 민간투자는 13% 증가한 3조2,510억원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태양광산업의 급성장은 국내 Value-Chain별 산업 완성, 정부․업계의 집중적인 투자, 세계 태양광 시장의 지속적인 확대* 등에 기인하고 있다.

 

 ‘10년 풍력산업 규모는 ’07년 대비하여 제조업체수는 39% 증가한 32개, 고용인원 수는 86% 증가한 2,654명, 매출액은 88% 증가한 1조1,678억원, 수출액은 33% 증가한 7.88억불, 민간투자는 76% 증가한 7,200억원 수준이다.

 

‘10년 풍력산업은 중국 내수시장(세계시장의 46% 차지)을 기반으로 한 중국업체의 급성장, 최근 세계 풍력시장의 위축(’09 38.6GW→ ’10 35.8GW), 국내에 풍력발전기 설치에 대한 과도한 규제로 인한 국내 보급의 저조, Track Record 부족으로 인한 시스템 수출의 어려움 등으로 다소 저조한 성과를 나타내었으나,  ‘11년은 풍력부품 수출 외에 풍력시스템 수출의 본격화, 해상풍력 개발 확대 등 세계풍력시장의 활력 회복 등에 따라 전년대비, 고용인원은 14% 증가한 3,016명, 매출액은 137% 증가한 2조 7,711억원, 수출액은 120% 증가한 17.3억불, 민간투자는 38% 증가한 7,200억원으로 전망된다.

 

지식경제부는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산업을 성장동력산업으로 보다 강력하게 육성하기 위해, ‘11년도 신재생에너지산업에 전년대비 24.1% 증가한 1조35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기존의 보급보조사업 및 기술개발 사업 외에, 사업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신재생에너지 중소·중견기업에 대한 지원을 위해 ‘신재생에너지 테스트베드(Test-bed)‘ 구축에 200억원을 신규로 지원하고, 지속적으로 크게 증가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수출을 보다 촉진하기 위해 해외진출지원에 90억원을 신규로 지원할 계획이다.

 

press1@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