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일보 이진욱 기자] 에너지 소비량이 많은 만큼 온실가스 감축의 여지도 큰 수송분야가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국제적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국립환경과학원(원장 윤승준)은 ‘기후변화관련 교통부문 온실가스 저감 대응 국제동향’의 주제로 5일 서울모터쇼가 열리는 킨텍스에서 국제세미나를 개최했다.

이종태

▲이종태 연구관은 온난화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높

은 CH₄, N₂O 저감은 필수라고 강조했다.


수송부문, 온실가스 배출 16.3%

 

교통환경연구소 이종태 연구관은 “국제적 화두인 기후변화와 에너지 문제 해결을 위해 선진 각국은 자동차 온실가스 규제를 강화하는 추세”라면서 “수송부문은 국가 에너지 소비의 19%, 온실가스 배출량은 6억2000만톤 중 1억2000천만톤인 16.3% 차지하고 있는 만큼 에너지 절약 및 온실가스 감축 여지가 크다”고 강조했다.

 

또한 자동차 온실가스 중 Non-CO₂인 CH₄(메탄), N₂O(이산화질소)의 배출 특성 연구를 발표하면서 이 연구관은 “CO₂에 비해 CH₄, N₂O의 절대량은 많지 않으나 지구 온난화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높아 CH₄, N₂O 저감은 필수”라고 말했다.

 

아울러 이 연구관은 “자동차 온실가스 기준 적용시 CH₄, N₂O, HFCs(수소불화탄소)를 감축하는 경우 CO₂감축량으로 인정돼야 한다”면서 “Non-CO₂ 물질에 대한 시험방법 확립 등 지속적인 조사분석을 통해 수송부문 배출량 산정 및 검증에 활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어서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자동차 환경정책 추진 방안에 대해 발표한 환경부 김준기 사무관은 “이제 전기자동차가 본격적으로 보급되며 교통분야 CO₂및 연비에 대한 법안이 올해 제정된다”고 말했다.

 

김준기

▲김준기 사무관은 교통분야 CO₂및 연비에 대한

법안이 올해 제정된다고 밝혔다.

다양한 인센티브로 전기차 구입 유도

 

우리나라는 10인승이하 승용·승합자동차를 대상으로 2015년까지 온실가스 기준 140g/km, 국가평균연비 17km/ℓ를 단계적 적용할 계획이며, 유럽은 승용차의 이산화탄소 목표기준을 2015년까지 130g/km, 미국은 2016년까지 225g/mile(≒140 g/km), 일본은 2015년까지 평균연비 16.8km/ℓ를 적용한다.

 

자동차 CO₂ 저감을 위해 환경부가 추진하는 법안의 주요 내용은 ▷자동차 온실가스 제도정비 ▷친환경 자동차 보급 확대 ▷운행차 대기환경 개선 ▷친환경 운전 문화 강화 등이다.

 

친환경운전은 운전자가 자동차의 특성을 이해하고 순리대로 운전해 에너지도 절약하고 CO₂도 줄이는 운전을 말한다. 지난 2005년 선진국들은 교토 의정서에서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CO₂를 줄이기 위해서 친환경 운전에 앞장서자는 약속을 했고 이후 전 세계적으로 에너지 문제에 대한 관심이 더욱 확대돼 선진 각국은 친환경운전 생활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김 사무관은 “2020년까지 전기자동차 100만대 보급을 위한 충전 인프라를 2011년 7월까지 구축할 것이며 구입 유도를 위한 다양한 인센티브를 마련 중”이라고 밝혔다.

 

주요 인센티브 내용은 ▷전기자동차 구입에 따른 세제감면 ▷주차 전용구간 확보 유도 및 혼잡 통행료 감면 ▷충전기 설치에 따른 토지이용 등 입지제한 관련 법규 부처 간 협의 ▷전기자동차 및 충전기 부품 관련 표준화 추진 협의 등이다.

 

한편 축사에서 환경부 이재현 기후대기정책국장은 “전기자동차 판매도 중요하지만 판매 이후 CO₂, 연비까지 고려한 운행관리가 더욱 중요하다”면서 “수송분야 인벤토리와 인프라를 어떻게 구축할 것인지 고민해야 하며 R&D 사업도 별도로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showgun@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