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연재 과장
환경산업이 돈 버는 효자산업으로 자리매김

선택과 집중에 따른 전략적 시장 진출 필요

 

2008년 8월15일, 대통령이 ‘저탄소 녹색성장’을 향후 60년을 이끌어나가는 국가비전으로 선포한 지 3년여의 시간이 흘렀다. 그동안 환경산업은 환경위해요소를 예방하고 훼손된 환경을 복원하는 녹색성장의 키워드로 떠올랐다. 녹색성장은 미래세대와 환경, 그리고 경제성장을 동시에 고려하면서 긴 호흡을 두고 결과를 바라봐야 한다고 한다. 그러나 지구촌의 환경문제는 온난화, 황사, 그리고 개도국의 급속한 경제발전 등이 겹치면서 더욱 심화되고 있다. 아울러 선진국을 중심으로 자국의 발전된 환경산업을 토대로 한 해외 환경산업 세일즈 역시 가속화되고 있다.

 

세계 환경산업 시장은 전 지구적 환경문제와 국제환경기준의 강화로 빠른 속도로 성장해 2020년에는 1조900억 달러의 거대시장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우리나라 해외환경산업 매출액은 2009년 2조5천억원으로 다른 산업분야에 비해 미약한 수준이다. 그러나 최근 5년간 성장률은 연평균 28.7%로 다른 산업에 비해 매우 높다. 이러한 상승세를 반영하듯 정부는 최근 2년간 170억원의 수출지원금을 국내 환경기업에 지원했다. 그 성과는 수출액 2100억원 달성, 수익률이 투자대비 1200%로 놀라운 성과를 거뒀다. 환경산업이 해외에서 돈을 버는 효자산업이 된 것이다.

 

이러한 성과는 기술력과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해외사업을 발굴하고 짧은 기간이나마 정부와 민간의 역할분담을 통한 체계적인 지원의 틀을 마련한 데 있다. 환경부는 그간의 규제 일변도의 환경정책에서 벗어나 수출지원 전문기관인 환경산업기술원을 설립, 유망프로젝트 발굴사업 및 해외 수주 지원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해 왔다. 특히 4월에는 현행 ‘환경기술개발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을 ‘환경기술 및 환경산업 지원법’으로 개정함으로써 국내기업의 해외 진출 및 자금조달 지원, 우수환경산업체 육성 등 다양한 지원사업의 법적 근거를 마련했다. 향후 환경산업 시장은 그 규모가 급속히 확대될 것이다. 아울러 사업 분야 및 발주 조건 등도 다양해 질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떤 차별화된 전략을 가지고 세계 환경시장에 대응해야 할까?

 

첫째, 우리나라의 해외 원조 사업과 환경산업체 간에 연결고리를 강화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해외 원조를 받던 나라에서 이제는 선진국 반열에서 해외 원조사업을 다양하게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지난해에 무상원조, 유상차관 및 국제기구 분담금 등을 통해 1조7천억원 정도를 지원했고 이중 10% 정도가 환경개선 사업에 지원됐다. 해외 원조 주관기관, 산업별 주무부처, 기업의 능동적인 협력관계를 강화해 원조사업을 국내기업의 사업화 연계하는 전략을 치밀하게 마련할 필요가 있다.

 

둘째, 개발도상국의 발전 상황에 맞춰 지역별로 신흥·틈새 시장을 개척해야 한다. 한정된 재원으로 성과를 극대화하려면 선택과 집중에 따른 전략적인 시장진출이 필요하다. 오일머니가 풍부한 중동과 남미지역, 유럽연합 펀드가 투입되는 폴란드 등 동유럽 국가에 대해 집중적인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이들 나라는 자국의 안정된 재원을 바탕으로 재정사업 형태의 대규모 환경기초시설 확충사업이 진행 중이다. 반면에 아시아, 아프리카 지역은 국내의 유·무상 원조사업과 연계해 효율적인 사업발굴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다양한 형태의 동반진출 모델발굴이 필요하다. 해외사업은 진출 대상국의 시장 정보, 자금조달 문제, 현지 정부의 투명성 미흡 등으로 기업 단독으로 진출이 어렵다. 따라서 정부·공기업과 민간기업의 동반, 신도시 건설과 환경기초시설의 연계, 대·중소 환경업체 간의 협력 방안 등 다양한 동반진출 모델을 발굴해 경쟁력을 강화시켜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개발도상국과의 협력네트워크 구축이다. 환경산업은 환경규제 즉, 제도적인 요인에 의해 수요가 창출되는 이른바 ‘인위적 시장창출 산업’이다. 시장 창출을 위해서는 정부 스스로 환경정책에 대한 관심을 기울이고 법과 제도를 마련하려는 의식개선이 필요하다. 그간 환경부는 개도국 공무원에게 다양한 연수프로그램과 초청사업을 벌였다. 장기 연수프로그램도 조만간 마련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선진화된 환경정책과 기술, 산업현황을 자연스럽게 소개하고 정부 간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사회간접자본의 성격이 강한 환경산업은 발주처가 대부분 정부기관이기에 정부 간 협력은 더욱 중요한 요소이다.

 

아울러 개도국이 무엇을, 어떤 수준으로 원하는지 늘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솝 우화처럼 학에게 넓적한 접시의 스프를 대접하고 여우에게 호리병의 물을 대접하는 실수를 범하지는 말아야 할 것이다. 최신의 기술을 가진 설비를 들여놓아도 정작 그것을 운영할 전기와 인력이 없다면 빛 좋은 개살구에 불과할 것이다.

 

우리나라가 급속한 경제발전과 환경위기를 통해 환경산업이 비약적인 발전을 했던 것처럼 개발도상국도 이러한 과정 속에 있다. 필자는 글로벌 녹색성장 시대에 우리나라의 환경산업이 돈 버는 효자산업으로 자리매김하기를 간절히 희망한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