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보삼 대표.

▲이보삼 대표는 “우리 제품의 해외 수출 시 ‘물 소비·

오염 문제’가 비관세 기술장벽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사전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환경일보 김경태 기자] 탄소 발자국(Carbon Footprint)에 이어 물 발자국(Water Footprint)에 세계적인 환경이슈로 떠오르면서 이에 대한 대비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지난 6월8일 코엑스에서 열린 ‘제3회 수자원환경기술포럼’에서 SAM Network의 이보삼 대표는 “물에 대한 전통적 관리 차원을 넘어 제품 차원의 물 소비·오염에 대한 평가기술 확보로 경쟁국들과의 격차를 벌리는 데 활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물 발자국(Water Footprint : WF)이란 음식, 종이, 옷 등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의 양을 말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커피 한잔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최종적으로 140ℓ의 물이 필요하며 면을 소재로 한 셔츠 한벌에는 2700ℓ, 계란 200ℓ, 햄버거에는 4000ℓ의 물이 소요된다.

 

WF 개념은 2002년 ‘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 산하 물 교육 국제기관(UNESCO-IHE)’의 한 과학자가 사람들이 물을 얼마나 소비하는지를 제대로 알려야겠다는 생각에서 최초로 등장했으며 2008년에 학자들과 환경운동가들이 ‘물발자국 네트워크’를 결성함으로써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됐다.

 

현재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와 관련해 가장 큰 관심을 받고 있는 탄소 발자국에 이어 최근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물 발자국에 대한 연구는 EU가 선도하고 있다. 국제인증기관인 ISO 역시 본격적인 연구에 착수했으며 3~5년 이내에 물발자국과 관련해 새로운 인증제도가 마련되리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전망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물 소비를 제품 차원으로 환산하는 연구가 사실상 전무한 실정이다. 그간 전통적인 물 관리 정책인 물 공급 확대와 물 수요 억제에만 국가정책의 초점이 맞춰진 것이다. 이보삼 대표는 “현 시점에서 유럽의 물 발자국 개발 기술이 유일한 연구이므로 이들과의 협력 관계는 불가피하다”면서 “기존의 제품 환경성 방법론인 LCA를 활용한 물 발자국 산출 방법론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물발자국은 EU를 중심으로 화학물질 규제와 탄소 발자국 등에 이은 새로운 무역장벽으로 등장할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탄소 발자국이 아직은 무역규제장치로 작동하고 있지는 않지만 ISO26000이 인증이 아님에도 불구 실질적인 무역장벽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인 가운데 탄소 발자국이나 물 발자국 역시 선진국을 중심으로 마찬가지 역할을 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다른 한편에서는 탄소가 세계적인 이슈라면 물은 그 특성상 지역적인 이슈이기 때문에 오히려 물을 많이 소비하는 산업이 개도국으로 이전하는 현상이 일어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과거 환경을 오염시키는 산업이 선진국에서 개도국으로 이전한 것처럼 물 다소비 산업 역시 마찬가지라는 것이다. 실제로 중국은 1인당 연간 물 소비량이 700㎥에 달하지만 단 7%(49㎥)만이 중국 밖에서 물이 소비된 원부자재 등을 사용한다. 반면 일본은 1인당 연간 물 소비량이 1150㎥에 달하며 65%(748㎥)가 일본 밖에서 물이 소비된 원부자재를 수입해서 사용한다.

 

이 대표는 “물 발자국과 관련된 연구를 통해 우리 제품의 해외 수출 시 ‘물 소비·오염 문제’가 비관세 기술장벽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사전 대응이 필요하다”면서 “이는 양적성장에서 질적 성장을 추구하는 정부의 녹색성장정책에도 실질적으로 부응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mindaddy@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