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환경과학원_유정아
전국 단위 취약성 평가 표준화 방법론 마련

지역 특성 반영, 지자체가 대응책 마련해야

 

최근 발생한 2월 한파와 폭설은 매우 이례적인 것으로서 전국적으로 피해가 속출했다. 교통수단의 마비, 수도와 보일러 동파사고 속출, 전력 수급 차질 등 미처 예측하지 못한 채 발생한 상황이라 대응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그 피해 또한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이상기후 현상은 대체 어떤 이유로 발생하는 것일까? IPCC 보고서는 기후변화의 원인을 산업혁명 이후 화석연료 사용의 급격한 증가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 때문이라 설명하고 있으며 이는 이미 많은 연구를 통해 과학적으로 입증된 바 있다.

 

국제사회에서는 기후변화의 원인물질인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고자 90년대 초부터 기후변화협약 등을 통한 다양한 논의들을 진행해왔다. 하지만 이미 배출된 온실가스는 그 수명이 짧게는 수년에서 수백년에 이르는 탓에 당장 배출을 중단한다 하더라도 그 영향은 오랫동안 지속된다. 특히나 지구 온난화는 기상재해, 생태계 파괴 등 다양한 형태로 표출돼 인류 생존을 위협하기 때문에 각 국가 및 지역에서는 온실가스 감축과는 별도로 기후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정부는 기후변화 제3차 종합대책(2005~2007)에서 처음 적응개념을 도입한 이래 2008년에 13개 부처 공동으로 국가 기후변화 적응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2010년에는 저탄소 녹색성장기본법 시행에 따른 최초의 법정계획으로서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2011~2015)을 수립했으며 동 대책을 실행하고자 관계부처 및 지자체에 이에 대한 세부시행계획을 수립하도록 명시하고 있다. 보다 실효성 있는 계획 수립을 위해서는 우선 기후변화에 의한 영향과 취약성 평가가 선행돼야 한다.

 

사실 기후변화의 영향은 지역별로 다르게 나타나므로 해당지역의 특성을 가장 잘 파악하고 있는 지자체에서 직접 취약성 평가를 수행해야 한다. 그러나 자체적으로 취약성 평가를 하기에는 예산, 인력 등 대응역량의 한계가 있으므로 중앙부처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 특히 현재까지의 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에 관한 연구는 부문별로 산발적으로 이뤄져 왔으며, 평가방법 역시 영향 모델, 자료 구축 수준 등 부문별 상황에 따라 다르게 진행돼 온 바, 부문별 전국 단위의 취약성 평가를 위한 표준화된 방법론 도출이 필요하다.

 

이러한 배경 하에 국립환경과학원에서는 중앙부처 차원에서 전국 232개 시군구 단위로 보건, 산림, 생태계, 물관리 등 총 7개 부문에 대해 현재와 미래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를 일괄 시행하고 그 결과를 발표했다. 기후변화에 진행됨에 따라 우리나라 남부지역은 홍수, 태풍, 폭염에 의한 건강 취약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수도권지역은 상대적으로 취약한 부문이 적게 나타났으나 보건 부문 중 미세먼지에 의한 건강 취약성이 타지역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부문별로는 미래로 갈수록 많은 부문에서 취약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농업 등 일부 부문에서는 현재의 취약지역 분포가 미래에는 다르게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생태계부문의 경우에는 수목, 곤충의 생장과 분포, 번식 등에 영향을 미치는 특정기간의 기온, 습도 등에 의해 큰 영향을 받으며 현재 취약한 지역이 대체로 미래에도 취약한 것으로 나타나므로 해당지역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한정된 예산과 인력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하려면 지역별로 어느 부문이 기후변화에 있어 보다 더 취약한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연구는 부문별로 개별적으로 진행돼 온 탓에 정책 수립 시 해당부문에서 상대적으로 취약한 지역이 어느 곳인지에 대한 판단이 불가능했다. 이번에 실시한 기후변화 부문별 취약성 평가는 국내 최초로 전국을 대상으로 표준화된 방법론에 따라 일괄 평가를 함으로써 이에 대한 해답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아무런 준비 없이 기후변화를 맞이하게 된다면 앞으로 10년 후, 30년 후, 나아가서 더 먼 미래에 우리는 어떤 위기에 직면하게 될까? 미래 기후변화에 의해 지역별로 어떤 부문이 특히 취약할지는 이번 취약성 평가를 통해 이미 확인한 바 있다. 현재의 우리와 미래 후손들이 기후변화에 잘 적응하며 살 수 있도록 지금부터라도 취약한 부문들을 우선으로 개선 보완해 갈 정책을 마련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이행해나가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