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이승만 별장 |
[제주=환경일보] 김태홍 기자 = 이승만 별장 정비사업 추진에 대해 곱지않은 시선이 많아지고 있다.
제주시 문화예술과는 제주문화의 정체성 확보 및 역사문화도시의 위상을 높여 나가기 위해 각종 문화재 정비사업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고 25일 보도 자료를 통해 밝혔다.
정비사업 중에는 이승만 별장정비사업도 포함됐다. 하지만 제주시는 이승만 별장 정비사업 관련, 향후 추진사업 개요를 기자실에서 요구했지만 담당 주무관은 그제서야 사업 개요를 만들겠다며 부랴부랴 부산 떠는 모습을 보여 주먹구구식 사업이 아니냐는 지적을 받고 있는 것.
보도자료는 앞으로 어떠한 식으로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지만 제주시는 사업개요도 만들지도 않은 상태에서 보도자료만 발표하는 식의 업무를 처리하고 있어 탁상행정을 펼치고 있다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한편 지난해 12월13일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도 제주4.3사건 당시 최고 책임자였던 이승만 전 대통령 별장을 도민의 세금을 들여 정비해야 되겠느냐는 지적이 있었다.
당시 이석문 교육의원은 13일 제주시 소관 내년 예산안 심사에서 이승만 별장 정비사업 예산에 대한 문제점을 제기했다.
이승만 별장은 지난 1957년 미군의 지원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공병대가 건축했다.
제주시 구좌읍 송당리 산 156번지에 위치한 별장은 이 전 대통령이 단 두 번만 숙박한 것으로 알려졌다.
제주시는 이 사업은 국가 원수와 관련된 근대문화유산이라는 점에서 2004년 9월4일 등록문화재로 지정됐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이석문 의원은 “제주4.3 당시 수많은 주민들이 학살되는 공권력 행사의 최고 책임자였던 이 전 대통령의 별장 보수에 도민의 세금을 들여야 하느냐”고 지적, 사업이 무산된 바 있다.
이 의원은 “왜 이 사업에 지방비를 투입하느냐”며 “지방비를 투입하지 않으면 사업을 하지 못하는 것이냐”고 물었다.
이에 대해 당시 오홍식 제주시 부시장은 왜 지방비를 투입하는지에 대해서는 답변하지 못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