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일보] 김영애 기자 = 정부는 우주기술 자립으로 안전하고 행복한 국민의 삶을 구현하고 우주강국을 실현하기 위해 정지궤도복합위성 개발부처 간 정책연계 협력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와 환경부(장관 윤성규), 해양수산부(장관 윤진숙), 기상청(청장 이일수)은 6월25일(화) 정부서울청사에서 ‘정지궤도복합위성 개발 및 활용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업무협약은 기상, 해양, 환경 분야 공공수요에 따라 관측용 위성(정지궤도복합위성) 개발을 추진하는 4개 부처가 협력을 강화해 효율적인 위성개발 및 위성정보 활용 확산을 위해 마련됐다. 이번 업무협약 체결에 따라 네 기관은 ▷정지궤도복합위성 개발 ▷위성정보 활용 ▷우주산업화 협력 ▷우주동향 공유 ▷정책협의 강화 등을 위해 협력하게 되며, 정례적으로 부처 간 간담회를 개최해 정책 연계 및 개발·활용 협력을 실질적으로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MOU 체결식에서 최문기 미래부 장관은 “정지궤도복합위성 개발과 미래부가 추진하는 우주산업화 전략은 새로운 시장을 만들고 질 좋은 일자리를 마련하는 대표적인 창조경제 산업”이라며 “부처 간 장벽을 없애고 소통과 협력을 강화해 우리나라가 우주기술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관계 부처들과 함께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윤성규 환경부 장관도 “이번 관측용위성 개발은 관계부처 협업으로 추진된다는 점에 큰 의의가 있다”라며 “위성관측으로 얻어진 기후변화정보 등 환경분야 정보들이 국가정책수립에 폭넓게 활용되고 국민 실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소통하고 협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윤진숙 해수부 장관은 “해양수산부 부활에 발맞추어 해양영토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적조 등 해양재해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최첨단 해양관측위성 개발은 매우 중요하고 필요한 사업”이라며 “향후 우주강국 실현과 선진 해양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해 해양수산부의 참여를 강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일수 기상청장은 “기상위성은 위험 기상 상시관측뿐만 아니라 기후변화시대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첨단 기술”이라며 “기상위성체 개발과 관측자료 활용 산업화를 통해 국가 창조경제 구현에 기여하고 국가의 안전과 국민의 행복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 체결을 계기로 4개 부처는 정지궤도복합위성 기술개발과 더불어 위성 영상의 다양한 활용, 우주기술을 활용한 산업화를 공동 추진해 우주개발 사업을 효과적으로 추진함으로써 우주기술 자립 및 우주강국의 실현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