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일보] 김택수 기자=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와 환경부(장관 윤성규), 해양수산부(장관 윤진숙), 기상청(청장 이일수)은 25일 오전9시 정부서울청사에서 ‘정지궤도복합위성 개발 및 활용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 (MOU)’을 체결했다.
정부는 우주기술 자립으로 안전하고 행복한 국민의 삶을 구현하고, 우주강국을 실현을 목적으로 정지궤도복합위성 개발부처 간 정책연계 협력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업무협약은 기상, 해양, 환경 분야 공공수요에 따라, 관측용 위성(정지궤도복합위성) 개발을 추진하는 4개 부처가 협력을 강화해 효율적인 위성개발 및 위성정보 활용 확산을 합의했다.
체결에 따라 각 기관은 ▷정지궤도복합위성 개발 ▷위성정보 활용 ▷우주산업화 협력 ▷우주동향 공유 ▷정책협의 강화 등을 협력해 정례적으로 부처 간 간담회를 개최하는 등 정책 연계 및 개발·활용 협력을 실질적으로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미래부 최문기 장관은 “오늘 MOU 체결은 최첨단 과학기술이 융합된 인공위성의 성공적인 개발과 아울러 연구결과의 산업화를 4개 부처가 협력해, 우주산업 분야에서 새로운 시장을 만들고 질 좋은 일자리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라며 “앞으로 미래부는 부처 간 장벽을 없애고 소통과 협력을 강화해 우리나라가 우주기술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관계 부처들과 함께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환경부 윤성규 장관도 “이번 관측용위성 개발은 관계부처 협업으로 추진된다는 점에 큰 의의가 있다”라며 “위성관측으로 얻어진 기후변화정보 등 환경분야 정보들이 국가정책수립에 폭넓게 활용되고 국민 실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해양수산부 윤진숙 장관은 “최첨단 해양관측위성 개발은 적조, 유류오염 등 해양재해를 상시 감시하고 신속한 대응에 중요한 사업”이라며 “해양관측위성에서 생산되는 자료가 적극활용돼 안전하고 깨끗한 바다를 만들 수 있도록 대국민 서비스에도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기상청 이일수 청장은 “기상위성은 위험 기상 상시관측뿐만 아니라 기후변화시대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첨단 기술”이라며 “기상위성체 개발과 관측자료 활용 산업화를 통해 국가 창조경제 구현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TIP> 정지궤도복합위성 : 지구 자전 속도와 동일하게 지구를 돌며 정지된 것처럼 보이는 위성
kts@hkb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