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환경일보] 고현준 기자= 지난 29일 신원섭 산림청장이 내도, 제주지역에 발생한 소나무 재선충병 피해지를 점검하고 특히 관계공무원들을 격려한 후 소나무 재선충병 방제 및 해송림 보존대책 회의를 가졌다.

도는 제주도의 소나무림 면적은 1만6284ha로 산림면적의 18%에 해당되며, 소나무 재선충병 발생은 지난 ‘2004년 제주시 오라골프장 인근 최초 발생된 후 올 8월 현재 18개 읍·면·동에 확산되고 있다"고 보고했다.

시는 2004년~2012년 까지 방제실적은 6913ha에 115억을 투자해 방제활동을 했고 2013년 8월 현재까지 3만5000여본의 고사목이 발생해 2만1000본 제거사업을 추진했다는 것이다.

나머지 1만4000본은 올해 연말까지 제주도가 갖고 있는 모든 인력·장비를 총 동원해 우선 제거 작업을 해 나갈 계획이다.

이날 회의에서 도는 유네스코가 지정한 생물권 보존지역 등 천혜의 자원을 가진 섬으로써 그 가치 보존이 최우선이 돼야 함에 따라 지역자원(인력, 기술) 부족으로 인력팀 지원과 2014년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사업비 총 39억 원 중 국고 26억 원을 지원해 줄 것을 건의했다.

신 청장은 "제주는 어느 타 지역과도 비교할 수 없는 천혜의 자원적 가치를 지닌 보물섬이기 때문에 소나무 재선충병 발생상황이 위기를 맞고 있다"고 진단하고 "제주특별자치도와의 유기적인 체계를 갖추고 소나무 재선충병 확산방지에 온 행정력을 기울일 것"을 약속했다.

또한 "도가 건의한 소나무 재선충병 방제 및 해송림 보존대책에 따른 인력과 모든 예산은 적극 지원하겠다"고 전했다.

이어 제주도의 귀중한 자연자산인 곶자왈이 기후변화 가속화와 외자유치 등 각종 개발 압력에 노출되면서 원형을 잃어가고 있음에 따라 완충지역으로써의 역할과 유네스코 3관왕, 세계7대자연경관에 걸맞은 산림생태계의 보고인 곶자왈을 보전에도 나서기로 했다.

이를 위해 신 청장은 "당초 2023년 까지 매수계획을 3년 앞당겨 2020년까지 매수사업을 완료하기로 하고 도가 건의한 2단계 사유림 매수사업 계획반영 및 2014년 사업비 75억원을 지원하겠다"고 확답했다.


kohj007@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