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일보] 김경태 기자 = 퇴직을 6개월여 남겨둔 김삼권 국립환경과학원장이 돌연 명예퇴직을 신청하면서 전운이 감돌고 있다. 가뜩이나 실·국장급 자리가 부족한 환경부 간부들로서는 다시 오기 힘든 기회이기 때문이다.

지난 11월 말 현 김삼권 원장이 명예퇴직을 신청했다. 2013년 6월 환경과학원장 자리에 취임한 그는 “환경부를 포함한 모든 공무원 조직이 인사 적체가 심각한 상황이라 후배들을 위한다는 차원에서 명예퇴직을 신청했다”라고 밝혔다.

김삼권 원장은 1985년 비정규직으로 과학원에 들어온 이래 환경 연구 분야 정점이라고 할 수 있는 국립환경과학원장 자리까지 역임했지만 결국 세월에 밀려 30년 공직생활을 마무리하게 됐다.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 그는 “2005년 부장이 된 이래 간부 역할에 충실하다 보니 연구보다 조직 관리에 치중하느라 공부가 많이 부족했다. 퇴임 후에는 못 다한 여행도 좀 하고 부족한 공부도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삼권 원장의 퇴임 이후 환경부는 환경과학원장 자리에 대해 개방형 공모를 실시했다. 환경부 내부에서 선발되면 2년, 외부에서 선발되면 임기 3년이 보장되는 자리를 놓고 치열한 자리다툼이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실제로 환경부 간부 B씨가 환경과학원장직을 강력하게 희망해 장관 재가까지 거쳤으나 윗선에서 꺼려해 낙마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환경부 본부는 물론 외부에 파견 나간 간부들과 환경부 출신 전직 공무원들 역시 조심스레 눈치를 보고 있다.

외부 파견 중인 한 고위급 공무원은 “실장은 바라지도 않는다. 국장급만 되도 감지덕지”라며 본부로 복귀하는 것을 강력하게 희망하고 있다고 한다. 또 다른 고위 공무원 역시 “이대로 공직생활이 끝나는 것 아니냐”며 복귀를 원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환경부 실·국장급은 포화상태다. 본부는 물론 지방청장직 역시 꽉 찬 상태여서 보직을 차지하기 위한 경쟁이 매우 심한 상태다.

게다가 이른바 ‘관피아’ 논란이 불거지면서 외부 협회나 기업에 진출하는 것 역시 쉽지 않다. 가뜩이나 외부로 진출할 수 있는 단체가 몇 개 없는 환경부 간부들로서는 갑갑할 따름이다. 얼마 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장 역시 환경부 내부가 아닌 교수 출신이 임명되면서 환경과학원장 자리만큼은 놓칠 수 없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와 관련 정부 관계자는 “예전부터 환경과학원장 자리를 맡기 위한 물밑 경쟁이 치열한 상태였다”라며 “현 원장이 물러나는 것 역시 후배들에게 부담을 느껴서가 아니겠는가”라고 말했다. 김삼권 원장의 명예퇴직이 자의에 의해서라기보다 타의에 의해서라는 설명이다.

개방형 공모인 만큼 환경공학을 전공한 교수들에게도 환경과학원장직은 꿈의 자리다. 그러나 환경부 본부 출신이 원장 자리에 오르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우세한 가운데 특히 외부에 파견 나간 상태인 L씨가 유력하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현재 공모가 진행 중인 환경과학원장 자리는 12월 말쯤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mindaddy@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