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가 ‘은퇴 후에 이 정도 준비되면 좋을 것 같다’고 생각할 수 있는 게 있다. 굳이 말하자면 ‘은퇴 자산’ 정도로 표현할 수 있지 않을까.
먼저 ‘은퇴 생활 자산’. 은퇴 후에 생계에 지장을 받지 않도록 기반을 닦는 것이다. 이것은 ‘은퇴 생활비’와 ‘목돈 수요’ 둘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은퇴에서 가장 두려운 부분 중 하나가 정기적인 수입원이 사라지는 것이다. 그래서 직업 활동 없이도 매월 필요한 생활비를 확보하도록 준비가 필요하다. 이를 위한 대표적인 형태가 연금이다. 연금에는 국민연금과 같은 공적연금, 퇴직 후 받는 퇴직 연금, 금융기관을 통해 가입하는 개인연금 등이 있다.
![]() |
먼저 소득대체율을 기준으로 매월 필요한 생활비 수준을 정하고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 등의 순으로 확보함으로써 연금의 다층구조를 만들면 된다. 또한, 연금으로 매월 생활비가 확보됐다 하더라도 무조건 안심할 수는 없다. 사업자금이나 자녀 결혼자금 등 ‘목돈 수요’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 자신의 성향에 따라서 적절한 금융 상품을 선택해서 저축하면 좋을 것이다.
은퇴 후의 삶에도 위기는 피할 수 없다. 고령이라는 특수성 때문에 이런 위기가 더 깊고 위험할 수도 있다. 개인연금 준비는 착실히 했는데 위기 대비를 전혀 하지 않아서 매우 고생하신 어르신을 지켜본 적이 있다. 게다가 병원비, 간병비, 생활비 등으로 연금을 다 소진하였다. 이런 일이 생기지 않도록 하려면 ‘은퇴 보장 자산’이라고 부를 만한 의료비보장, 중증질환에 대한 보장, 간병상황에 대한 보장을 준비하면 효과적이다.
그 다음은 은퇴 주거 자산이 있다. 은퇴 후에 살 집이 꼭 있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살던 집에서 나이 들어가는 것을 가장 선호한다. 물론 전원주택 등으로 이주하는 것을 고려하는 사람도 있다. 어떤 형태를 원하든 은퇴 주거 자산 확보에도 관심을 두고 미리 준비하는 게 좋을 것이다. 하지만 부동산 자산에 너무 편중되면 좋지 않다. 우리나라 고령층은 은퇴 주거 자산에 대해서 실용적인 시각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은퇴 후 부부가 지내기에 집이 너무 넓다거나, 도심에 위치를 두었거나 하면 매매나 다운사이징(Down Sizing)을 통해 현금을 확보하는 게 더 효율적 일 수 있다. 또한, 은퇴 생활 자산이 부족할 때는 주택연금 등을 통해 매월 생활비를 보충하는 방법도 적극 고려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은퇴 상속 자산을 준비하라. 은퇴 후의 노후 생활을 끝내고 세상을 떠날 때 자녀와 배우자를 위해 뭔가를 남기고 싶은 게 인지상정. 주로 현금이나 금융상품, 부동산 등 유형의 재산을 남길 수 있지만 지난 생애를 회고하면서 가문의 가치, 철학, 지식 등을 점검하고 이를 정리하는 것도 가치 상속의 한 방법이다. 유형 재산이든 무형의 가치든 무엇인가 상속할 때는 사려 깊은 준비가 필요하다.
또한 건강 자산, 지식 자산, 사람과의 관계 자산이라고 부를 수 있는 비재무적 자산형성에도 관심을 갖는 것이 좋다.
![]() |
<글 / 한국은퇴설계연구소 권도형 대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