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국회 농해수위 김우남 위원장은 제주산 콩나물 콩 1751톤에 대한 정부의 긴급 추가 수매가 이뤄진다고 밝혔다.
주로 콩나물 콩을 생산하는 제주산 콩은 지난 해 생산 분에 대한 재고, 생산량 급증, 수확기에 내린 비 등으로 인해 삼중고를 겪어왔다.
농림축산식품부가 김우남 위원장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15년산 전국 콩나물콩 생산량은 11만5천톤으로 지난해 보다 11.8% 증가했고 제주산은 8천톤으로 전년대비 45.6% 늘어났다.
국내 소비를 고려할 때 약 1900톤의 공급과잉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현재 콩나물 콩의 거래는 40kg 당 12만원 선으로 정부 수매가인 16만1천원보다도 34% 가량 낮은 가격으로 이뤄지고 있다.
이와 같은 수급불안 대책으로 제주도는 2014년산 재고 714톤의 두부용 판매를 위해 도비 5억8천만원을 투입했고 농협중앙회는 제주에 49억원의 무이자 자금을 지원했다.
또한 제주지역 농협들과 제주도는 농림축산식품부에 제주산 콩나물 콩의 정부 수매 확대 등을 건의했고 김우남 위원장에게도 국회 차원의 지원을 요청했다.
이 과정에서 김우남 위원장은 농림축산식품부에 제주산 콩나물 콩의 수매물량을 대폭 확대하고 11월30일까지로 돼있는 수매 기간을 연장하는 등의 콩 수급안정대책을 즉각 수립·실행할 것을 끈질기게 설득해왔다.
이러한 노력에 힘입어 농림축산식품부는 국내산 콩나물콩의 조기 수급안정을 위해 73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1751톤의 제주산 콩나물 콩을 추가 수매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이에 따라 제주산 콩나물 콩의 정부 수매는 기존 509톤에서 2260톤으로 늘어났고 일반 콩까지 합치면 총 3100톤이 수매되며 수매기간 역시 올해 12월31일까지로 연장된다.
김우남 위원장은 “정부의 제주산 콩나물 콩 추가 수매 결정으로 급한 불은 껐다“며 “향후에도 콩나물 콩의 판로 확대, 저가 수입물량 축소 등의 추가 대책마련에 국회 차원의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kohj007@hkb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