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인구가 분포하는 도시지역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백두대간과 달리, 도심 인근에 위치하는 정맥의 숲은 폭염을 완화시킬 수 있는 차가운 공기를 생성한다.
특히 밤 10시부터 생성된 차가운 공기를 공급하는 통로역할을 통해 인접 도시의 열대야 현상을 완화시키는 것이 확인됐다.
호남정맥이 위치하는 전주지역을 대상으로 지형과 토지이용에 따른 차가운 공기 생성정도, 차가운 공기 흐름과 층 높이에 대해 분석한 2016년 연구 결과, 밤이 되면 정맥의 산림으로부터 차가운 공기가 계곡으로 이동해 도심으로 유입됐다.
밤 10시부터 새벽 4시까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정맥에서 생성된 차가운 공기의 흐름 및 공기층이 증가했으며 계곡부근에서 공기층이 가장 두껍게 형성됐다.
또한 호남정맥과 가까운 전주의 야간기온 감소(2013년 5℃, 2015년 3.8℃)가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김제(2013년 2.2℃, 2015년 1.8℃), 익산(2013년 4.0℃, 2015년 2.7℃)의 야간기온 감소에 비해 크게 나타나 정맥 숲에서 생성·공급되는 차가운 공기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립산림과학원 조재형 산림복원연구과장은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도심 생활권에 미치는 ‘백두대간 정맥’의 역할이 새롭게 확인됐다”며 “향후 산림의 녹색에어컨 기능 확대와 국민의 도시생활환경개선을 위해 백두대간 뿐 아니라 정맥의 보전 및 관리도 강화해야한다”고 밝혔다.
![]() |
시간이 지날수록 짙은 청색으로 표시된 차가운 공기가 도심으로 확산돼 열기를 식힌다. <자료제공=국립산림과학원> |
이번 결과는 산림청이 주관하고 국립산림과학원, 한국환경생태학회가 공동으로 수행하고 있는 정맥 자원실태조사를 통해 도출됐다. 산림청은 정맥의 산림자원 변화실태를 파악해 효율적인 보호·관리에 활용하기 위해 매 6년마다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계명대학교 연구팀(엄정희 교수)과 함께 정맥의 차가운 공기 확산효과 분석을 위해 독일에서 개발된 차가운 공기 분석 모형 KALM 모델을 사용했으며 모델분석에 사용된 인자로는 토지피복도, 수치지형자료(DEM), 토지피복 유형별 기온차 및 공기 생성율, 거칠기 길이, 영면변위높이 등이 활용됐으며 각 항목의 변수 값은 우리나라 도시 구조에 맞게 재산정해 분석했다.
한편 산림청과 국립산림과학원은 국민의 정맥에 대한 가치이해를 돕기 위해 우리나라 정맥의 1차기 자원실태조사(2009~2014)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해 ‘한국정맥의 이해’를 책자로 발간하고 중장기적으로 백두대간 정맥의 보전 방안을 마련에 활용할 예정이다.
press@hkbs.co.kr
이정은
press@hkb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