덜그럭거리면 ‘GSK 폴리덴트 틀니 부착재’와 같은 부착재를 사용해 일시적으로 고정력을 높여 사용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부착재는 틀니와 잇몸을 고정해 그 틈새로 음식물이 끼는 것을 방지한다. 


[환경일보] 오성영 기자 = 고령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노화로 인한 틀니 사용 인구도 함께 늘고 있다. 최근 통계에 의하면 65세 이상 인구의 절반가량이 틀니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 7월부터는 틀니 보험 적용 연령이 확대되면서 틀니 사용 인구는 더욱 늘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올바른 관리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는 상황이다.

일반적으로 틀니 사용자가 가장 불편해하는 것은 음식물 끼임, 입 냄새, 부정확한 발음 등이다. 이런 경우 추석 명절과 같이 온 가족이 모이게 되면, 틀니를 사용하는 부모님은 음식을 드시는 것에부터 대화하는 것까지 모든 것이 불편하고 부담일 수 밖에 없다.

이와 같은 현상의 대부분은 틀니가 잇몸에 잘 고정되지 않아 덜그럭거리면서 발생한다. 잘 맞는 틀니도 잘못된 관리로 인해 변형되거나 시간이 지나 잇몸이 퇴축돼 들뜨고 덜그럭거릴 수 있다. 틀니가 헐거우면 잇몸과 틀니 틈새로 음식물이 껴 식사가 불편하고 구취와 잇몸 염증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실제로 틀니 사용자의 약 60~65% 정도가 구내염을 앓고 있다는 보고도 있다.

덜그럭거리면 ‘GSK 폴리덴트 틀니 부착재’와 같은 부착재를 사용해 일시적으로 고정력을 높여 사용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부착재는 틀니와 잇몸을 고정해 그 틈새로 음식물이 끼는 것을 방지한다.

부착재는 1일 1회 사용으로 최대 12시간까지 지속 고정되어 사용의 불편함은 줄이고 안정감과 자신감을 높였다. 특히 사용자 중 70%가량을 차지하는 부분 틀니 사용자 역시 부착재로 고정력을 높이면 남아있는 자연치와 틀니가 이물감 없이 서로 맞물려 높은 저작력을 발휘, 더욱 편리한 식생활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느끼는 또 다른 불편함과 스트레스의 원인 중 하나가 바로 구취이다. 이번 추석명절에 부모님이 대화를 꺼리거나 수시로 입을 가리는 모습을 보인다면 구취로 불편한 건 아닌지 의심해보고 평소 세정 방법을 확인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구취의 원인은 세균으로 틀니를 치약으로 닦는 것이 원인이다. 치약으로 닦으면 치약 속 연마제로 인해 틀니 표면에 상처가 생길 수 있다. 그 틈에서 구취를 유발하는 세균이 번식하기 때문에 치약 사용은 오히려 구취 등 구강 건강을 악화시키는 대표적 요인이 된다. 따라서 치약이 아닌 틀니 세정제를 사용해 관리해야 한다.

세정제는 하루 1회, 200mL 물에 5분간 틀니와 함께 담가놓는 것만으로도 구취 유발 박테리아를 99.9% 살균해줘 상쾌한 구강 상태를 유지해준다. 또한, 치약으로도 닦이지 않는 플라그와 얼룩까지 말끔히 제거해줘 위생적인 관리와 청결한 이미지 유지가 가능하다.

한편 세정제 중 ‘GSK 폴리덴트 5분 클리닝 정’은 최근 한국소비자원이 실시한 틀니 세정제 성능 시험∙평가에서 단백질 분해 성능과 음식 얼룩 제거 성능 모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온 가족이 모이는 추석 명절은 부모님의 평소 틀니 사용 습관을 살피고 식사 등 불편한 부분을 체크할 수 있는 그리고 부모님에게 올바른 관리법을 알려드릴 수 있는 좋은 기회다.

press@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