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테러·사고 대응 체계도<자료제공=화학물질안전원>



[환경일보] 김원 기자 = 환경부 소속 화학물질안전원은 2014년 1월에 개원해 화학테러·사고 대응 전문기관으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24시간 전문인력이 근무하는 화학안전종합상황실은 전국에서 발생하는 화학테러·사고를 실시간으로 대응하고 있다.

개원 후 3년 동안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안전관리를 위해 약 3600건의 장외영향평가 및 위해관리계획서를 심사·평가하고 있다.

또한 소방이나 유해화학물질 취급 사업장 종사자 등 연간 약 23만여명을 대상으로 안전교육을 실시하는 한편 화학사고 대비 및 수습에 필요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1월2일 환경부 조경규 장관은 대전 유성구에 위치한 화학물질안전원(원장 김균)을 방문해 화학테러 및 사고 대응 태세를 현장 점검했다.

화학물질안전원은 현황 브리핑을 통해 ▷화학테러·사고 대응체계 현황 ▷대응장비 보유 현황 및 확충 계획 ▷사고대응기관 간 협업 강화 방안 등 효과적인 화학재난 대응 방안을 보고했다.

<사진제공=환경부>



화학물질안전원은 지난해 3월부터 스마트폰용 어플리케이션 '캐리스 앱(CARIS App, 사고상황 공유 앱)을 본격 운영해 화학사고 대응정보 제공 시간을 종전 평균 20분에서 13분으로 단축했다.

통상 30분 내에 소방 등 사고대응 직원이 사고 현장에 도착해 방재활동을 착수하는데, 대응정보 시간을 단축할수록 사고대응이 개선되고 주민 대피가 신속하게 이뤄져 인명피해가 줄어들게 된다.

현재 화학물질안전원, 지방유역환경청, 합동방재센터, 소방서, 경찰서, 군(화생방) 등 600여개 화학사고 대응 유관기관 직원 2000여명이 이 앱을 사고대응에 활용하고 있다.

또한 화학물질안전원은 대형 화학사고가 발생할 경우 양압식 특수화학분석차량을 사고현장에 투입해 사고물질과 오염농도 수준을 신속·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는 이동식 실험실(Mobile Lab)을 운영하고 있다.

화학물질안전원은 올해 약 38억 원의 예산을 확보해 화학보호복 등의 노후장비를 교체하고 영상촬영 소형 드론, 스마트 헬멧, 원거리 적외선 탐지기 등의 첨단 장비를 울산, 여수 등 국가산업단지에 보급할 계획이다.

조경규 환경부 장관은 “화학사고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신속하고 효과적인 초동대응이 매우 중요하다”며 “연초에도 긴장을 늦추지 않고 혹시 모를 화학사고가 발생할 경우 방재·구조 등 적극적인 대비와 수습 활동에도 힘 써 달라”고 당부했다.

jhj@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