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Z 권역은 군사적으로 민감한 지역으로 최근 10년간 총 75건의 산불이 발생, 봄철마다 남하하는 산불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 |
철원 곰배산 산악기상관측소 <사진제공=국립산림과학원> |
국립산림과학원은 DMZ 권역의 산악기상관측망 구축이 성공적으로 완료됨에 따라 접근불능지역에서 관측되는 실시간 기상정보를 융합해 산림재해 예측 정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015년 제3야전군사령부 관할 지역인 서부전선 김포 문수산과 파주 월롱산 2개소를 시작으로, 2016년에는 제1야전군사령부와 ‘산악기상정보 공동 활용을 위한 협약(MOU)’을 체결하고 동부전선에 이르는 접근불능지역에 산악기상관측망 10개소를 추가 구축했다.
DMZ는 서쪽에서 동쪽까지 총 길이 248㎞에 이르는 곳으로 그 동안 관측 공백이 있었다. 산악기상관측망 구축으로 실시간 산악기상관측이 가능해짐에 따라 산악기상정보 공유와 상호 교류가 더욱 활발해질 전망이다.
국립산림과학원 이창재 원장은 “DMZ와 같이 특수한 지역에서 안정적으로 정확한 산악기상정보가 제공되면 산불, 산사태 등 산림재해 예방은 물론 군 작전 활동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국방부 관계자도 “DMZ 내 산악기상관측망의 구축은 전방지역 장병들의 안전과 작전 수행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면서 군사지역에서의 산악기상정보 공동 활용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한편 국립산림과학원은 앞으로도 산림청-기상청-국방부 간 상호협력을 통해 산악기상정보 맞춤형 서비스를 강화해나갈 계획이다.
현재 전국 주요 산악지역 150개소에서 관측하는 산악기상정보는 산악기상정보시스템(mtweather.nifos.go.kr/)을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되고 있다.
press@hkbs.co.kr
한이삭
press@hkb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