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2017년도 에너지 수요관리·신재생 정책설명회’ |
[부산=환경일보]서기량 기자 = 한국에너지공단(이사장 강남훈)은 8일 해운대구 벡스코 컨벤션홀에서 산업체 및 건물 에너지담당자, 에너지 업종 종사자 등 4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2017년도 에너지 수요관리·신재생 정책설명회’를 개최했다.
이번 설명회에서는 주요 에너지수요관리 추진시책과 새롭게 달라지는 신재생에너지 정책 제도 등에 대한 안내가 진행됐다. 또, 에너지이용합리화 자금지원, 산업체 에너지절약 지원, 녹색건축, 전기차 보급 활성화 사업 등 다양한 지원제도를 공유했다.
이날 공단은 태양광으로 생산한 전력을 SMP(계통한계가격)와 REC(공급인증서)를 합산한 고정가격으로 거래하는 경쟁입찰제도 도입 등 개편되는 신재생에너지 정책을 설명했다. 이어 1월 20일부터 시행된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제도를 소개함으로써 단계별 정책 확산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이날 ‘2017년 수요관리 정책 및 에너지신산업 추진 방향’에 대해 발표한 한국에너지공단 조권희 과장은 “우리나라는 에너지의 수입 의존도가 높아 에너지 수급 구조가 취약하다. 에너지 소비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2015년 에너지수입액은 1,27억불로 전체수입액의 23.5%를 차지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조 과장은 2017년도 수요관리 주요 추진방향에 대해 “산업부문과 기기부문으로 구분해 추진된다. 산업부문은 산업체의 에너지절감노력 평가에 따른 우수사업장 인증, 에너지진단 내실화 추진, ESCO 투자사업 및 에너지절약시설 설치사업 지원 등으로 추진된다. 기기부문의 경우 2017년 에너지 효율 시장 시범사업의 지원품목을 확대 추진하고, 올해 12월 3일 이후 수입 열사용기자재 검사대상기기는 공단 제조검사가 의무화된다”고 발표했다.
이와 함께 한국에너지공단 신호철 팀장은 ‘2017년 신재생에너지 정책방향’과 관련, 신재생에너지 보급목표 및 추진전략, 2017년 달라지는 신재생에너지 정책·제도 등에 대해 설명했다. 신 팀장은 “2025년까지 1차 에너지 대비 신재생에너지 비율을 11%까지 달성하고, 태양광과 풍력발전의 비중을 72%로 확대하는 것이 목표다”라고 강조했다.
또, “올해 달라지는 신재생에너지 정책과 제도는 신재생설비 KS인증 대상품목 확대, 신재생에너지설비 시공기준 명확화 및 상세화, 공공기관 신재생에너지설비 설치의무비율 확대, 주택지원사업 활성화 등이 있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