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동북아 기후에너지 협력의 도전과 전망’ 개최

[고려대학교=환경일보] 김은교 기자 = 어떻게 하면 저탄소 경제 활성화를 통한 동북아 지역의 기후변화협력이 가능할 수 있을까.

성공적인 에너지 전환을 위한 에너지 협력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동북아 기후에너지 협력의 도전과 전망’ 세미나가 (재)기후변화센터, CSDLAP, (사)한국기후변화학회 주최로 지난 9일 고려대학교 국제관에서 개최됐다.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환경문제가 날로 심각해지고 있는 가운데,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에너지 전환’ 문제가 국제사회의 주요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국내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에너지 전환의 성공을 위해서는 국내 협력 뿐 아니라 국제적 차원, 특히 동북아 지역 간 에너지 협력이 무척 중요하다고 얘기한다.

동북아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역동적인 산업경제활동이 벌어지고 있는 지역이다. 이 곳의 에너지 소비량은 전세계 1/3이며, 미세먼지·황사·기후변화와 같은 심각한 환경문제 극복을 과제로 직면하고 있는 지역이기도 하다.

지난 9일, 고려대학교에서 열린 '동북아 기후에너지 협력의 도전과 전망' 세미나 <사진=김은교 기자>

동북아 협력, 저탄소 인프라 구축 가능
이번 세미나의 좌장을 맡은 유영숙 기후변화센터 공동대표 겸 정책위원장은 동북아 지역의 저탄소 경제활성화 노력이 전세계 온실가스 배출의 성패를 가를 수 있다고 말하며 동북아 기후변화 협력의 중요성을 되새겼다.

유영숙 기후변화센터 공동대표 겸 정책위원장

먼저 ‘동북아 기후에너지 협력의 필요성과 방안’을 주제로 발표한 정서용 고려대학교 교수는 동북아 지역의 국가들이 저탄소 기술 개발을 통해 기후변화 대응을 한다면 전기자동차, 재생에너지, 천연가스 등 새로운 저탄소 인프라가 구축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동북아 지역은 황사·해양환경 등의 환경문제에 비해 기후변화 자체 협력이 미미한 상황이다. 또한 미세먼지·원자력 안전·에너지 수급 불균형·북한 문제로 대두되는 기후변화·환경 위협 문제는 곧 동북아 안보의 위협요인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정 교수는 각각의 개별 이슈, 더 나아가 동북아 전체의 안보 위협까지도 동북아 지역의 저탄소기후변화 협력, 더 나아가 ‘동북아 탄소 시장매커니즘의 협력’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동북아 저탄소 기후변화 협력을 추진하기 위한 방안도 제시했다.
정 교수는 단순 미세먼지 협력이 아닌 동북아 저탄소 기후변화 협력을 위한 정상 협의체를 창설하고, 기존의 한중일 중심 동북아 협력에서 탈피해 한·중·일·몽골·러시아·북한이 모두 협력하는 방향을 구상해야 한다고 전했다.

또한 GGGI·GCF·AIIB 등 기후변화 관련 국제기구를 적극 활용하고 UN기후변화 협상·G20 등 주요 글로벌 협의체와 연계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정서용 고려대학교 교수

남북 협력으로 한반도 재생에너지 전환
‘한국의 재생에너지 정책과 동북아 재생에너지 협력 가능성’에 대해 얘기한 이상훈 (사)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 소장은 에너지를 동북아 전력망으로 연결하는 수퍼그리드 사업이 2000년대 초반부터 지속적으로 논의돼 오고 있는 사안이라고 얘기했다.

그러나 동북아 수퍼그리드 사업은 지역 에너지 협력의 경험 부족·경제성·정치적 불안정성 등의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그간 매우 더딘 진행을 보여왔다. 이와 관련해 이 소장은 전력망 연계시 몽골의 풍부한 태양광과 풍력의 잠재력을 활용한다면 동북아 국가들이 활용할 수 있는 재생에너지 협력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와 더불어 이 소장은 남북간 재생에너지 협력 사업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남북 재생에너지 협력은 북한의 에너지난 해소를 위한 인도주의적 지원을 넘어 한반도 재생에너지 전환의 관점에서 장기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기 위해서는 친환경에너지마을·에너지자립섬과 같은 한국의 재생에너지 사업모델을 적용하고, 단기적으로는 남북 교류 협력 재개시 개성공단 재가동 및 개성공단 재생에너지 이용을 추진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본 세미나에서 강창희 (재)기후변화센터 이사장은 세계 에너지 문제와 환경문제가 집약돼있는 동북아 지역의 국가들이 합치된 노력을 전개할 수 있다면, 전세계적으로도 엄청난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라 전망했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