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종 변화, 어획량 감소, 양식장 집단 폐사 우려

[환경일보] 기상청(청장 남재철)은 해양기상부이(현재 17개소)로 관측한 표층 수온 분석 결과, 우리나라 여름철 바다 수온이 최근 2010년부터 올해까지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고 밝혔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한반도 전 해역(서해·남해·동해)의 7월 평균 수온은 2010년 이후 연 0.34℃씩 상승해, 1997년(수온 최초 관측해) 이후 7월 평균 수온상승경향인 연 0.14℃보다 약 2.4배 높게 나타났다.

특히 서해는 7월 월평균 수온이 1997년 이후 연 0.17℃씩 오르다가 2010년부터 연 0.54℃씩 증가해 가장 큰 상승폭을 보였고, 남해와 동해의 7월 월평균 수온은 각각 연 0.30℃와 0.21℃씩 증가한 경향을 보였다.

서해의 8월 평균 수온은(2017년 8월 자료까지만 분석) 2010년 이후 연 0.45℃씩 상승했지만, 남해와 동해의 수온은 각각 연 0.36℃와 0.37℃씩 상승해, 7월보다 더 크게 올랐다.

7월 수온 변화 경향 <1997년~2018년, 단위 : ℃/년, 자료제공=기상청>

한편 미국 해양대기청(NOAA)의 극궤도 위성이 관측한 2016~2018년 7월 평균 수온을 분석한 결과, 한반도 주변 해역의 고수온 영역이 지속적으로 북쪽으로 확장하고 있음이 확인됐다.

2016년에는 7월의 평균 25℃ 등수온선(바다 표층 수온이 같은 곳을 이은 가상의 선)이 태안과 울산 인근 해역에서 나타났으나, 2017년에는 백령도와 속초, 2018년 올해에는 평안북도와 함경남도 인근 해역까지 북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발생한 급격한 수온 상승은, 장기간 지속된 폭염으로 대기 온도가 상승하고 일사량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또한 한반도는 지난 몇 년간 직접적인 태풍 영향을 적게 받아, 해수면 아래 찬 바닷물과 표층의 따뜻한 바닷물이 섞여 수온을 낮춰주는 역할을 하지 못한 것도 원인으로 지목된다.

이외에도 ▷북쪽이 막힌 한반도 주변 해역의 특성 ▷따뜻한 해류 ‘쿠로시오’와 ‘대마 난류’의 세력 강화 ▷주변 국가의 산업화로 인한 기후변화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바다 수온 상승으로 어종 변화, 어획량 감소와 함께 양식장 피해가 커질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은 한반도를 둘러싼 바다 수온이 상승하면서 폭염도 매년 더 심각해질 가능성이 있으며 ▷바다의 어종 변화 ▷어획량 감소 ▷양식장 집단 폐사 등이 계속 나타날 것으로 전망했다.

아울러 뜨거워진 바다로 인한 해수면 상승은 해안가 침식이 우려됨에 따라, 연안 도시계획 수립 시 종합적인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내다봤다.

남재철 기상청장은 “한반도 주변 해수온도 상승은 지구온난화가 초래한 일면으로, 기상청은 기후변화에 의한 원인과 영향을 자세히 파악하고 국민과 함께 지혜를 모아 사회 전반적인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