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안위, 라돈침대 임시보관 현황 파악 못 해

더불어민주당 이종걸 의원

[환경일보] 지난 5월 발생한 라돈침대 사태 당시 생활방사선 측정인력이 원자력안전재단에 속한 단 1명뿐인 것으로 드러났다. 게다가 생활방사선을 관리하는 원자력안전위원회는 라돈침대가 어디에, 얼마나 보관됐는지 파악조차 못하고 있다.

원자력안전위원회가 더불어민주당 이종걸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생활방사선을 담당하는 부서는 원자력안전위원회 생활방사선안전과,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생활방사선안전실, 원자력안전재단 생활방사선팀이다.

그러나 대부분 행정인력이거나 다른 업무를 담당하고 있었고, 원자력안전재단에서만 단 한명만 제품에 대한 생활방사선 측정업무를 담당했다.

생활방사선 측정인력은 9월에 들어서야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과 원자력안전재단에 충원됐다. 현재는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4명, 한국원자력안전재단 3명이 생활방사선 측정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12일 국회에서 열린 원자력안전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이종걸 의원은 “라돈 사태의 핵심은 우리가 매일 누워서 잠을 자는 침대에 건강에 치명적일 수 있는 방사성 물질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라며 “2012년 생활주변방사능 안전관리법이 제정되고 예산이 투입됐지만 라돈침대 사건이 터지기 전까지 생활방사선 관리가 전혀 안됐다”고 지적했다.

인력은 충원됐지만 라돈침대 사태 수습에 매달리느라 곳곳에서 업무공백이 생기고 있다. 라돈침대 수거가 늦어지면서 각 지자체가 직접 수거에 나서 임시보관소를 운영하는 사례가 생겼지만, 원안위는 어떤 지자체가 몇 개를 수거해서 어느 곳에 보관하는지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지난 5월부터 태국산 음이온 라텍스, 중국산 게르마늄 라텍스 침구류에도 1급 발암물질인 라돈과 토론이 검출됐다는 사실이 알려졌지만, 해외제품에 대해서는 방사선량 측정이나 검출 원인 분석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 의원은 “국민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방사선 감리, 감독시스템을 정비하고 예산을 확충해서 국민들의 방사선 피폭량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