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초의 표준화된 기상관측체계 증명하는 유물

[환경일보] 현존하는 유일한 측우기인 ‘금영 측우기’와 가장 오래된 측우대인 ‘대구 선화당 측우대’ 및 ‘창덕궁 측우대’의 국보 지정이 추진된다.

금영 측우기(보물 제561호), 대구 선화당 측우대(보물 제842호) 2점은 기상청이 소장하고 있으며 창덕궁 측우대(보물 제844호) 1점은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이 보물들은 세계 최초의 표준화된 기상관측체계가 전국적으로 구축되고 유지됐음을 증명하는 유물로 세계적으로 독자성과 중요성을 널리 인정 받고 있다.

보물 제561호 ‘금영 측우기’는 현존하는 유일한 측우기이다. <자료제공=기상청>

보물 제561호 ‘금영 측우기’는 현존하는 유일한 측우기로 1837년(헌종 3년)에 제작돼 공주에 설치됐으나 일제강점기에 일본으로 무단 반출된 것을 기상청이 환수(1971년)해 소장하고 있다.

‘금영 측우기’는 청동으로 만들어진 상·중·하단이 서로 끼워 맞출 수 있도록 제작됐으며, 크기는 세종실록에 기록된 크기 및 무게와 같아 세종대의 측우기 제도가 조선 후기까지 유지됐음을 보여준다.

보물 제842호 ‘대구 선화당 측우대’는 1770년(영조 46년)에 제작돼 대구 선화당에 설치됐던 것으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측우대다.

‘대구 선화당 측우대’는 화강암으로 만들어졌으며, 전·후면에 제작 시기가 음각으로 새겨져 있어 측우대 규격을 공식화 한 영조대의 역사적 사실을 보여준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측우대인 보물 제842호 ‘대구 선화당 측우대’ <자료제공=기상청>

보물 제844호 ‘창덕궁 측우대’는 1782년 제작된 것으로, 측우대 제도가 정조대(1776~1800)에도 이어졌음을 알려주는 유물이다. 조선 전기에 확립된 강수량 측정제도가 조선 후기까지 전통이 지속됐음을 증명해주는 사례로 중요한 의의가 있다.

문화재청은 30일간의 예고 기간 동안 보물 3점에 대해 각계의 의견을 수렴·검토 후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국보)로 지정할 예정이다.

한편 기상청은 ‘금영 측우기’와 ‘대구 선화당 측우대’ 실물을 2020년 10월 개관할 기상박물관(서울 송월동 소재)에 전시할 예정이다.

김종석 기상청장은 “기상과학문화의 역사적 중요성과 우수성이 다시 한 번 입증되어 대단히 기쁘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기상유물의 보존과 기상과학문화의 확산을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