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환경 중심 행복·스마트 축산’ 시책 공개···작년 축산 투자액 보다 14% 훌쩍

[경기=환경일보] 최용구 기자 = 경기도가 올해 전년 대비 13.6% 늘어난 총 2500억원의 사업비를 축산에 투입한다. 주제는 ‘사람과 환경 중심의 행복·스마트 축산’ 구현이다.
도는 이 같은 내용의 ‘2020년도 경기도 축산시책 추진계획’을 13일 밝혔다.
특히 최근 아프리카돼지열병, 구제역, 조류인플루엔자 등을 의식, 동물복지와 친환경 축산에 대한 관심이 높은 만큼 도는 깨끗하고 안전한 축산환경을 만드는데 초점을 둔다는 설명이다.
이날 공개한 2500억원 규모, 64개 사업의 주요 방향은 ▷지속가능한 축산기반 조성 ▷축산업 경쟁력 강화 ▷자연친화적 축산환경 조성 ▷사료생산 및 품질관리 ▷가축개량 및 말산업 육성 등 5개다.
먼저 ‘지속가능한 축산기반 조성’을 위해 축사시설 현대화 사업, 스마트 축사시설 확대, 에코팜랜드 조성 등 4개 사업에 802억원을 투자한다. ‘축산업 경쟁력 강화’에는 경기한우 명품화, 축종별 맞춤형 육성, 가축재해보험 가입 지원 등 555억원을 투자해 14개 사업을 추진한다.
해충악취 저감, 퇴액비살포 지원, 가축행복농장 인증·지원 등 ‘자연친화적 축산환경 조성’ 7개 사업에는 381억원이 투입된다. 또 ‘사료생산 및 품질관리’ 분야에는 549억원을 들여 ▷조사료 생산지원 ▷유휴지 풀사료 생산 ▷부존자원 사료화 ▷사료 제조시설 품질·안전 관리 등 10개 사업을 시행할 계획이다.
아울러 ‘가축개량 및 말산업 육성’을 위한 자체 씨수소 생산, 우량종축 생산·보급, 공익적 승마지원, 승용마 생산지원 등 29개 사업에도 213억원을 투자한다. 올해는 택지개발과 인구증가에 따른 도농복합지역의 증가하는 악취 민원에 ‘악취 저감시설 지원’, ‘축사 이미지 개선’ 등도 시행한다는 방침이다.
끝으로 도는 지자체 최초로 시행중인 ‘가축행복농장 인증’을 확대해 공장식 축산업을 지양하고 가축에게는 쾌적한 환경을, 소비자에겐 안전한 축산물을 생산·공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데 주력한다고도 이날 덧붙였다. ▷ICT 융복합 스마트 축산 ▷곤충산업 육성 ▷한우 보증씨수소 개발 등 미래 축산으로 도약할 수 있는 다양한 사업도 추가적으로 소개했다.
도 축산정책과 관계자는 “올해 경기도 축산은 사람과 환경을 우선시 하고, 미래지향적 축산업으로 변화하는 중요한 시기가 될 것”이라며 “축산농가와 도민이 상생할 수 있도록 각 시군 및 유관기관과 적극 협력해 가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