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부터 지자체·관계기관과 함께 상주 공검지 퇴적층 시추
돌말류·꽃가루·깔따구 등 생물 분석 통해 공검지 고대 규모 규명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상주 공검지의 고대 규모를 밝히기 위해 18일부터 7일간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 일대에 관한 시추조사를 한다. <사진제공=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환경일보] 이채빈 기자 = 환경부 산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상주 공검지의 고대 규모를 밝히기 위해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상주시청, 상주박물관과 협력해 18일부터 7일간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 일대에 관한 시추조사를 한다.

상주 공검지는 약 1400년 전 만들어졌다고 알려진 고대 저수지 중 하나다. 우리나라 논 습지 중 최초로 습지보호 지역과 경상북도 기념물 제121호로 지정됐다.

연구진은 공검면 일대의 해발고도, 지형, 고문헌 자료 등을 바탕으로 공검지의 옛터를 추정할 수 있는 지점을 선정했다. 시추 장비를 이용해 시추조사를 할 예정이다.

지름 8㎝ 크기의 시추공으로, 최대 10m 깊이의 13개 지점을 우선 뚫는다. 조사 결과를 토대로 추가 시추가 진행될 수 있다.

시추된 코어시료는 학술 연구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과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 각각 보관될 계획이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상주박물관과 협력해 당시 농경의 규모, 인구수 등 고고학적 해석을 시도할 예정이다.

서민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장은 “이번 시추조사는 역사적으로만 전해져 오던 공검지의 생성 규모를 과학적으로 입증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학술적으로 높게 평가될 수 있으며, 공검지의 역사를 재조명할 좋은 기회”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