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일상 섭취 잦은 채소류 및 서류 분석 결과 발표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사진제공=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경기=환경일보] 정재형 기자 =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원장 윤미혜)은 지난해 8월부터 4개월간 도내 소비가 많은 채소류 및 서류를 대상으로 항산화 물질인 ‘클로로젠산’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를 5일 발표했다.

연구원에 따르면 이번 조사에는 취나물, 케일, 상추, 깻잎, 시금치 등 채소류 39품목과 고구마, 감자, 마, 토란 등 서류 4품목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조사 결과, 총 24품목에서 ‘클로로젠산’이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채소류 중에는 ‘취나물’의 함유량이 높았다. 100g당 함유량이 취나물은 38.3mg, 이어 ▷케일(22.9mg) ▷미나리(10.7mg) ▷우엉(9.7mg) 순이었다. 

호박고구마(1.4mg)는 조사 대상 ‘서류’ 중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홍감자도 0.4mg이 나와 다른 서류 대비 함유량이 많았다는 설명이다. 

아울러 연구원은 ▷취나물과 미나리는 30초 가량 데쳤을 때 ▷감자와 고구마는 채반으로 쪘을 때가 함유량이 높았다고 밝혔다. 부위별로는 껍질의 함유량이 가장 높았다고도 덧붙였다. 

보건환경연구원 농수산물검사부 관계자는 “도민들이 많이 섭취하는 채소류, 서류에 항산화물질에 대한 연구가 부족해 이번 연구를 진행했다”라며 “앞으로 도민들에게 일상 생활에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클로로젠산’은 폴리페놀의 일종으로 세포 기능 장애를 통해 체내 염증을 유발하는 활성산소의 생성·축적을 억제해 면역력 강화와 노화·비만 억제에 도움을 주는 항산화 물질로 널리 알려져 있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